홈
> 맛지마 니까야 > 95.caṅkī
5. caṅkīsuttaṃ (MN 95-짱끼 경) - 3.진리(眞理)[참]의 성취를 위해서 유용한 법들
434. “ettāvatā, bho gotama, saccānuppatti hoti, ettāvatā saccamanupāpuṇāti, ettāvatā ca mayaṃ saccānuppattiṃ pekkhāma. saccānuppattiyā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saccānuppattiyā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saccānuppattiyā kho, bhāradvāja, padhānaṃ bahukāraṃ. no cetaṃ padaheyya, nayidaṃ saccamanupāpuṇeyya. yasmā ca kho padahati tasmā saccamanupāpuṇāti. tasmā saccānuppattiyā padhānaṃ bahukāran”ti.
“고따마 존자시여, 이런 방법으로 진리[참]의 성취가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진리[참]를 성취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우리는 진리[참]의 성취를 봅니다.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서는 정진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정진하지 않으면 진리[참]를 성취하지 못할 것입니다. 정진할 때 진리[참]가 성취됩니다. 그러므로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서는 정진이 크게 유용합니다.”
“padhānass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padhānass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padhānassa kho, bhāradvāja, tulanā bahukārā. no cetaṃ tuleyya, nayidaṃ padaheyya. yasmā ca kho tuleti tasmā padahati. tasmā padhānassa tulanā bahukārā”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정진을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정진을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정진을 위해서는 판단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판단하지 않으면 정진하지 못할 것입니다. 판단하기 때문에 정진합니다. 그러므로 정진을 위해서는 판단이 크게 유용합니다.”
“tulanāy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tulanāy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tulanāya kho, bhāradvāja, ussāho bahukāro. no cetaṃ ussaheyya, nayidaṃ tuleyya. yasmā ca kho ussahati tasmā tuleti. tasmā tulanāya ussāho bahukāro”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판단을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판단을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판단을 위해서는 노력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노력하지 않으면 판단하지 못할 것입니다. 노력할 때 판단합니다. 그러므로 판단을 위해서는 노력이 크게 유용합니다.”
“ussāhass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ussāhass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ussāhassa kho, bhāradvāja, chando bahukāro. no cetaṃ chando jāyetha, nayidaṃ ussaheyya. yasmā ca kho chando jāyati tasmā ussahati. tasmā ussāhassa chando bahukāro”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노력을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노력을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노력을 위해서는 관심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관심이 생기지 않으면 노력하지 못할 것입니다. 관심이 생길 때 노력합니다. 그러므로 노력을 위해서는 관심이 크게 유용합니다.”
“chandass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chandass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chandassa kho, bhāradvāja, dhammanijjhānakkhanti bahukārā. no cete dhammā nijjhānaṃ khameyyuṃ, nayidaṃ chando jāyetha. yasmā ca kho dhammā nijjhānaṃ khamanti tasmā chando jāyati. tasmā chandassa dhammanijjhānakkhanti bahukārā”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관심을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관심을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관심을 위해서는 법들을 이해하려는 바람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법들을 이해하려는 바람이 없다면 관심이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법들이 이해될 때 관심이 생깁니다. 그러므로 관심을 위해서는 법을 이해하려는 바람이 크게 유용합니다.”
“dhammanijjhānakkhantiyā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dhammanijjhānakkhantiyā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dhammanijjhānakkhantiyā kho, bhāradvāja, atthūpaparikkhā bahukārā. no cetaṃ atthaṃ upaparikkheyya, nayidaṃ dhammā nijjhānaṃ khameyyuṃ. yasmā ca kho atthaṃ upaparikkhati tasmā dhammā nijjhānaṃ khamanti. tasmā dhammanijjhānakkhantiyā atthūpaparikkhā bahukārā”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법들을 이해하려는 바람을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법들을 이해하려는 바람을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법들을 이해하려는 바람을 위해서는 의미를 조사하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의미를 조사하지 못하면 법들이 이해되지 않을 것입니다. 의미를 조사할 때 법들이 이해됩니다. 그러므로 법들을 이해하려는 바람을 위해서는 의미를 조사하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atthūpaparikkhāy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atthūpaparikkhāy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atthūpaparikkhāya kho, bhāradvāja, dhammadhāraṇā bahukārā. no cetaṃ dhammaṃ dhāreyya, nayidaṃ atthaṃ upaparikkheyya. yasmā ca kho dhammaṃ dhāreti tasmā atthaṃ upaparikkhati. tasmā atthūpaparikkhāya dhammadhāraṇā bahukārā”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의미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의미를 조사하는 것을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의미를 조사하는 것을 위해서는 법을 기억하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법을 기억하지 못하면 의미를 조사하지 못할 것입니다. 법을 기억할 때 의미를 조사합니다. 그러므로 의미를 조사하는 것을 위해서는 법을 기억하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dhammadhāraṇāy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dhammadhāraṇāy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dhammadhāraṇāya kho, bhāradvāja, dhammassavanaṃ bahukāraṃ. no cetaṃ dhammaṃ suṇeyya, nayidaṃ dhammaṃ dhāreyya. yasmā ca kho dhammaṃ suṇāti tasmā dhammaṃ dhāreti. tasmā dhammadhāraṇāya dhammassavanaṃ bahukāran”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법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법을 기억하기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법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법을 듣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법을 듣지 않으면 법을 기억하지 못할 것입니다. 법을 들을 때 법을 기억합니다. 그러므로 법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법을 듣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dhammassavanass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dhammassavanass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dhammassavanassa kho, bhāradvāja, sotāvadhānaṃ bahukāraṃ. no cetaṃ sotaṃ odaheyya, nayidaṃ dhammaṃ suṇeyya. yasmā ca kho sotaṃ odahati tasmā dhammaṃ suṇāti. tasmā dhammassavanassa sotāvadhānaṃ bahukāran”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법을 듣기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법을 듣기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법을 듣기 위해서는 귀를 기울이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법을 듣지 못할 것입니다. 귀를 기울일 때 법을 듣습니다. 그러므로 법을 듣기 위해서는 귀를 기울이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sotāvadhānass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sotāvadhānass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sotāvadhānassa kho, bhāradvāja, payirupāsanā bahukārā. no cetaṃ payirupāseyya, nayidaṃ sotaṃ odaheyya. yasmā ca kho payirupāsati tasmā sotaṃ odahati. tasmā sotāvadhānassa payirupāsanā bahukārā”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귀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귀를 기울이기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귀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섬기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섬기지 않으면 귀를 기울이지 못할 것입니다. 섬길 때 귀를 기울입니다. 그러므로 귀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섬기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payirupāsanāy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payirupāsanāy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payirupāsanāya kho, bhāradvāja, upasaṅkamanaṃ bahukāraṃ. no cetaṃ upasaṅkameyya, nayidaṃ payirupāseyya. yasmā ca kho upasaṅkamati tasmā payirupāsati. tasmā payirupāsanāya upasaṅkamanaṃ bahukāran”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섬기기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섬기기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섬기기 위해서는 가까이하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가까이하지 않으면 섬기지 못할 것입니다. 가까이할 때 섬깁니다. 그러므로 섬기기 위해서는 가까이하는 것이 크게 유용합니다.”
“upasaṅkamanassa pana, bho gotama, katamo dhammo bahukāro? upasaṅkamanassa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ucchāmā”ti. “upasaṅkamanassa kho, bhāradvāja, saddhā bahukārā. no cetaṃ saddhā jāyetha, nayidaṃ upasaṅkameyya. yasmā ca kho saddhā jāyati tasmā upasaṅkamati. tasmā upasaṅkamanassa saddhā bahukārā”ti.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가까이하기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가까이하기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우리는 고따마 존자에게 묻습니다.” “바라드와자여, 가까이하기 위해서는 믿음이 크게 유용합니다. 만약 믿음이 생기지 않으면 가까이하지 못할 것입니다. 믿음이 생길 때 가까이합니다. 그러므로 가까이하기 위해서는 믿음이 크게 유용합니다.”
435. “saccānurakkhaṇ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apucchimha, saccānurakkhaṇaṃ bhavaṃ gotamo byākāsi; tañca panamhākaṃ ruccati ceva khamati ca tena camha attamanā. saccānubodh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apucchimha, saccānubodhaṃ bhavaṃ gotamo byākāsi; tañca panamhākaṃ ruccati ceva khamati ca tena camha attamanā. saccānuppatti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apucchimha, saccānuppattiṃ bhavaṃ gotamo byākāsi; tañca panamhākaṃ ruccati ceva khamati ca tena camha attamanā. saccānuppattiyā bahukāraṃ dhammaṃ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apucchimha, saccānuppattiyā bahukāraṃ dhammaṃ bhavaṃ gotamo byākāsi; tañca panamhākaṃ ruccati ceva khamati ca tena camha attamanā. yaṃyadeva ca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apucchimha taṃtadeva bhavaṃ gotamo byākāsi; tañca panamhākaṃ ruccati ceva khamati ca tena camha attamanā. mayañhi, bho gotama, pubbe evaṃ jānāma — ‘ke ca muṇḍakā samaṇakā ibbhā kaṇhā bandhupādāpaccā, ke ca dhammassa aññātāro’ti? ajanesi vata me bhavaṃ gotamo samaṇesu samaṇapemaṃ, samaṇesu samaṇapasādaṃ, samaṇesu samaṇagāravaṃ. abhikkantaṃ, bho gotama ... pe ...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우리는 진리의 보호를 고따마 존자께 물었고, 고따마 존자는 진리의 보호를 설명하셨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좋아하고 받아들입니다. 그것으로 인해 우리는 즐겁습니다. 우리는 진리에 대한 앎을 고따마 존자께 물었고, 고따마 존자는 진리에 대한 앎을 설명하셨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좋아하고 받아들입니다. 그것으로 인해 우리는 즐겁습니다. 우리는 진리의 성취를 고따마 존자께 물었고, 고따마 존자는 진리의 성취를 설명하셨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좋아하고 받아들입니다. 그것으로 인해 우리는 즐겁습니다. 우리는 진리의 성취를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고따마 존자께 물었고, 고따마 존자는 진리의 성취를 위해 크게 유용한 법을 설명하셨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좋아하고 받아들입니다. 그것으로 인해 우리는 즐겁습니다. 우리가 고따마 존자께 물은 것을 물은 때에 고따마 존자는 설명하셨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좋아하고 받아들입니다. 그것으로 인해 우리는 즐겁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예전에 우리는 이렇게 알았습니다. — ‘삭발한 사문들, 천한 검둥이들, 범천의 발에서 태어난 자들은 누구인가? 법을 아는 자는 누구인가?’라고. 참으로 사문 고따마께서는 저에게 사문들에 대한 사문의 사랑을, 사문들에 대한 사문의 믿음을, 사문들에 대한 사문의 존중을 생기게 해 주셨습니다.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예를 들면, 고따마 존자시여, 넘어진 자를 일으킬 것입니다. 덮여있는 것을 걷어낼 것입니다. 길 잃은 자에게 길을 알려줄 것입니다. ‘눈 있는 자들은 모습들을 본다.’라며 어둠 속에서 기름 등불을 들 것입니다. 이처럼,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런 저는 의지처인 고따마 존자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 있는 동안 귀의한 재가 신자로 받아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