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95. 짱끼 경[찬탄 - 진리(보호-앎-성취) - 탐-진-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524…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95. 짱끼 경[찬탄 - 진리(보호-앎-성취) - 탐-진-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524)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BaTPDkF4FQ
‘이것만이 참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는 말은 오직 부처님의 완전한 깨달음에서만 가능합니다. 다른 스승의 가르침에서는 이렇게 말하지 않아야 합니다. (MN 95-짱끼 경)은 ①부처님에 대한 찬탄과 ②진리를 주제로 하는데, 진리는 ③탐(貪)-망(望)-진(嗔)-치(癡)의 주제를 포함합니다. 이때, 진리의 앎의 과정에서 열망하기 마련인 법들-거부하기 마련인 법들-열중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한 검증을 포함하는데, 탐-망-진-치의 연장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부처님이 오빠사다라는 꼬살라들의 바라문 마을에 도착했을 때, ①짱끼 바라문이 부처님을 뵈러 오는 과정에서의 찬탄과 ②16세의 젊은 바라문 까빠띠까와의 문답의 과정에서 설명하는 진리입니다.
• (MN 95-짱끼 경)은 ①부처님에 대한 찬탄과 ②진리를 주제로 하는데, 진리는 ③탐(貪)-망(望)-진(嗔)-치(癡)의 주제를 포함함 → 진리의 보호-앎-성취-성취를 위해 크게 유용한 법 ― 진리의 앎의 과정에서 망(望)-진(嗔)-치(癡)의 미래수동분사형인 열망하기 마련인 법들-거부하기 마련인 법들-열중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한 검증을 포함함
• 부처님이 오빠사다라는 꼬살라들의 바라문 마을에 도착했을 때, ①짱끼 바라문이 부처님을 뵈러 오는 과정과 ②16세의 젊은 바라문 까빠띠까와의 문답으로 진리에 대한 주제를 설명하는 과정으로 구성됨.
1. 짱끼 바라문이 부처님을 만나러 가려하자 오백 명의 바라문이 10가지의 이유를 들어 만류함 ― “짱끼 존자께서 사문 고따마를 만나러 가는 것은 그럴만한 가치가 없습니다. 오히려 사문 고따마가 짱끼 바라문을 뵙기 위해 오는 것이 그럴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2. 짱끼 바라문은 20가지의 이유를 들어 부처님을 만나러 가야 한다고 설득함 — “그렇다면, 존자들이여, 나의 말도 들어 보시오. 우리가 그분 고따마 존자를 뵙기 위해 가는 것은 그럴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분 고따마 존자가 우리를 만나기 위해 오는 것은 그럴만한 가치가 없습니다.”
3. 짱끼 바라문이 많은 무리와 함께 부처님을 방문하고, 이어서 16세의 젊은 바라문 까빠띠까와 부처님의 문답이 진행됨
1) 바라문들의 완전한 결론 — 바라문의 선조들의 신성한 말씀 ― ‘이것만이 참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고. 여기에 대해 고따마 존자는 어떻게 말합니까?
2) 부처님의 반론 ― 바라문의 선조들의 신성한 말씀을 알고 보면서 이렇게 주장하는 바라문 없음 → 머리를 꼬아 줄을 지어 붙잡고 있는 장님들의 비유 → 바라문들의 믿음은 근거가 없음
3) 젊은 바라문 까빠띠까 ― 바라문들은 믿음만이 아니라 전승도 섬김
4) 부처님 ― 지금여기에 두 가지 보(報)가 있는 다섯 가지 법들 ― 믿음, 성향, 전승, 온전한 생각 떠오름의 출현, 견해와 통찰의 지속 ― 그것에 철저하다 해도 없는 것이고 공허하고 거짓일 수도 있고, 그것에 철저하지 않아도 존재하는 것이고 사실이고 다르지 않을 수도 있음 → (진리를 알지는 못하지만) 진리를 보호하는 현명한 사람이 (진리는 따로 있기 때문에) ‘이것만이 참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는 완전한 결론을 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5) 이어지는 문답
• 진리의 보호 ― 믿음~견해와 통찰의 지속이 있다면 ‘나에게 이런 믿음~견해와 통찰의 지속이 있다.’라고 말하는 자가 진리를 보호함 → 그만큼으로 ‘이것만이 참이고 다른 것은 거짓이다.’라는 완전한 결론을 내지 않음 → 이런 방법으로 진리는 보호되지만, 그만큼이 진리를 안 것은 아님
• 진리를 앎
①비구에게서 열망하기 마련인 법들, 거부하기 마련인 법들, 열중하기 마련인 법들에 대해 검증함 → 검증된 비구 ― ‘그러므로 이 존자가 설하는 법은 심오하고, 보기 어렵고, 깨닫기 어렵고, 평화롭고, 숭고하고, 딱까[애(愛)의 형성 과정]의 영역을 넘어섰고, 독창적이고, 현자에게만 경험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법은 열망하는 자-거부하는 자-열중하는 자에 의해 잘 설해질 수 없는 것이다.’
; 탐(貪)-망(望)-진(嗔)-치(癡)의 번역어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4_05&wr_id=102
② 검증된 비구에 대한 믿음이 생김 → 가까이함 → 섬김 → 귀를 기울임 → 법을 들음 → 법을 기억함 → 의미를 조사함 → 법들이 이해됨 → 관심이 생김 → 노력함 → 판단함 → 정진함 → 몸으로 궁극의 진리를 실현하고 지혜로써 꿰뚫어 봄 → 이런 방법으로 진리에 대한 앎이 생기지만, 그만큼이 진리를 성취한 것은 아님
• 진리의 성취 ― 법들의 실천과 수행을 많이 행할 때 진리[참]의 성취가 있음 → 이런 방법으로 진리[참]의 성취를 선언함
6) 젊은 바라문 까빠띠까 ―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 크게 유용한 법 ― “그런데, 고따마 존자시여,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서는 어떤 법이 크게 유용합니까?”
7) 부처님 ― 진리[참]의 성취를 위해 크게 유용한 법 ― 「정진 ← 판단함 ← 노력 ← 관심 ← 법들의 이해 ← 의미의 조사 ← 법의 기억 ← 법을 들음 ← 귀를 기울임 ← 섬김 ← 가까이함 ← 믿음」
▣ (진리)짱끼 경(MN95) - 진리의 보호-앎-성취(해피스님의 경전해설 190109)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03&wr_id=33
▣ 진리에 대한 특강 목록 ― 「해피스님의 경전해설2 ― 주제별 ― (진리)」 ☞ 답글
4. 젊은 바라문 까빠띠까는 감탄하고 귀의하여 재가 신자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