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26,부미자 경[결실을 얻음 - 소원 유무가 아니라 사실에의 부합 여부(팔정도)](근…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26,부미자 경[결실을 얻음 - 소원 유무가 아니라 사실에의 부합 여부(팔정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207)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Vd53klkjZ7o
「‘소원을 하든, 하지 않든 범행의 실천을 통해 결실을 얻을 수 없다.’라는 주장에 대해 부미자 존자의 스승께서는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가르치십니까?」라는 자야세나 왕자의 주제 발의에 대해 부미자 존자는 세존에게서 들은 바 없지만 아마도 소원의 유무가 아니라 사실에의 부합 여부에 따라 결실의 유무가 있다고 말씀하실 것이라고 대답합니다. 부미자 존자의 이런 대답에 대해 부처님은 바른 대답이었다고 인정하면서 사실에의 부합 여부를 팔정도로써 제시합니다. 팔정도를 실천하지 않는 범행은 결실을 얻을 수 없고, 팔정도를 실천하는 범행은 결실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인데, 4가지 비유로써 설명합니다. ― 기름-우유-버터-불이 필요하고 원하는 사람
• 부미자 존자와 자야세나 왕자
※ 또 하나의 부미자 경 ― (SN 12.25-부미자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2_01&wr_id=33
1. 자야세나 왕자의 주제 발의 ― 「‘소원하면서 범행을 실천하여도 결실을 얻을 수 없고, 소원하지 않으면서 범행을 실천하여도 결실을 얻을 수 없고, 소원하기도 하고 소원하지 않기도 하면서 범행을 실천하여도 결실을 얻을 수 없고, 소원하는 것도 아니고 소원하지 않는 것도 아니면서 범행을 실천하여도 결실을 얻을 수 없다.’라고. 여기에 대해 부미자 존자의 스승께서는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가르치십니까?」
※ kiṃvādī kimakkhāyī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가르치십니까?/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가르치십니까? → 「주제의 확장(AN-6) ‒ 「kiṃvādī kimakkhāyī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가르치는 사람인가?)」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113
2. 부미자 존자의 대답 ― 세존에게서 들은 바 없지만 아마도 소원의 유무(有無)가 아니라 사실에의 부합 여부에 따라 결실의 유무가 있다고 말씀하실 것
※ 분별설자(分別說者) → 「주제의 확장(AN-8) ‒ 분별설자(分別說者-vibhajjavāda)」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115
3. 자야세나 왕자의 동의 ― ‘부미자 존자의 스승께서는 확실히 어리석은 모든 보통의 사문-바라문들을 내리치면서 머뭅니다.’ ― 획일적 주장의 오류를 분별적 가르침으로 내리침
4. 부미자 존자가 세존에게 이 일화를 보고하고 바르게 답하였는지 여쭘
5. 부처님은 바른 대답이었다고 인정하면서 사실에의 부합 여부를 팔정도로써 제시함
; 삿된 견해, 삿된 사유, 삿된 말, 삿된 행위, 삿된 생활, 삿된 노력, 삿된 사띠, 삿된 삼매 = 결실을 위한 바른 방법 아님 → 결실을 얻을 수 없음
;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말, 바른 행위, 바른 생활, 바른 노력, 바른 사띠, 바른 삼매 = 결실을 위한 바른 방법 → 결실을 얻을 수 있음
; 네 가지 비유
1) 기름이 필요하고 기름을 원하는 사람
• 기름을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모래를 통에 넣고서 거듭 물을 뿌리면서 압착 ― 기름을 위한 바른 방법 아님 → 기름을 얻을 수 없음
• 기름을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참깨 분말을 통에 넣고서 거듭 물을 뿌리면서 압착 ― 기름을 위한 바른 방법 → 기름을 얻을 수 있음
2) 우유가 필요하고 우유를 원하는 사람
• 우유를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젊은 소의 뿔을 당김 ― 우유를 위한 바른 방법 아님 → 우유를 얻을 수 없음
• 우유를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젊은 소의 유선(乳腺)을 쥐어짬 ― 우유를 위한 바른 방법 → 우유를 얻을 수 있음
3) 버터가 필요하고 버터를 원하는 사람
• 신선한 버터를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물을 통에 넣고서 교반 막대를 저음 ― 버터를 위한 바른 방법 아님 → 버터를 얻을 수 없음
• 신선한 버터를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응유를 통에 넣고서 교반 막대를 저음 ― 버터를 위한 바른 방법 → 버터를 얻을 수 있음
4) 불이 필요하고 불을 원하는 사람
• 불을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젖고 수액이 있는 나무토막에 부시 막대를 가지고 비빔 ― 불을 위한 바른 방법 아님 → 불을 얻을 수 없음
• 불을 얻기 위해 실천하면서 마르고 수액이 없는 나무토막 나무토막에 부시 막대를 가지고 비빔 ― 불을 위한 바른 방법 → 불을 얻을 수 있음
※ (AN 5.43-원함 경) ― 기도가 아니라 실천 = 자력종교(自力宗敎)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1_05&wr_id=4& (백일법문)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325
※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단순하지만 이전에 듣지 못한’의 용례
• 두 가지 비유 ― (MN 125-길들임의 단계 경)
• 세 가지 비유 ― (MN 36-삿짜까 큰 경)/(MN 85-보디 왕자 경)/(MN 100-상가라와 경)
• 네 가지 비유 ― 부미자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