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동영상 안내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31. 상서로운 하룻밤 경[과거-미래-현재에 대한 대응방법(131~134)](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313)에서 설명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4_01&wr_id=4
3. 이어지는 경들
3) lomasakaṅgiyabhaddekarattasuttaṃ (MN 134-로마사깡기야의 상서로운 하룻밤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4_04&wr_id=1
• 신의 아들 짠다나가 로마사깡기야 존자에게 와서 대화함 ― “비구여, 그대는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을 이해합니까?”
“도반이여, 나는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도반이여, 그대는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을 이해합니까?”
“비구여, 나도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비구여, 그대는 상서로운 하룻밤의 게송을 압니까?”
“도반이여, 나는 상서로운 하룻밤의 게송을 모릅니다. 도반이여, 그대는 상서로운 하룻밤의 게송을 압니까?”
“비구여, 나는 상서로운 하룻밤의 게송을 압니다.”
“비구여, 그대는 어떻게 상서로운 하룻밤의 게송을 압니까?”
“비구여, 한때 세존께서 삼십삼천의 빠릿찻따까 나무 밑 빤두깜발라 바위에 머무셨습니다. 거기서 세존께서 삼십삼천의 신들에게 상서로운 하룻밤의 개요와 분석을 말씀하셨습니다 …
※ (AN 7.69-빠릿찻따까 경)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5_07&wr_id=6
※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은 부처님께서 삼십삼천의 신들을 위해서도 설한 가르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 로마사깡기야 존자가 부처님에게 와서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을 설해달라고 요청함
• 부처님은 그 신의 아들의 이름이 짠다나라는 것을 말하고, 그처럼 골격을 만들고 작의(作意)하고 모든 심(心)을 집중하여 귀 기울인 자로서 법을 들으라고 말한 뒤 상서로운 하룻밤을 위한 개요와 분석을 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