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41. 진리의 분석 경[불교의 구성(삼법인-연기-팔정도-사성제) & 사성제 개괄](근본경전연구회…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41. 진리의 분석 경[불교의 구성(삼법인-연기-팔정도-사성제) & 사성제 개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501)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6LSl697yQBs
(MN 141-진리의 분석 경)은 사리뿟따 존자가 사성제(四聖諦)를 분석하는 과정의 단순한 전개를 보여줍니다. 부처님이 전법륜(轉法輪)한 사건 즉 (SN 56.11-전법륜경)을 소개한 뒤 사리뿟따 존자와 마하목갈라나 존자와 함께 교제하고 실천하라고 권하고 거처로 들어가면, 사리뿟따 존자가 고(苦)-고집(苦集)-고멸(苦滅)-고멸도(苦滅道)를 정의하고 분석해 줍니다. 수업에서는 사성제를 개괄하여 설명하였는데, 『불교입문(Ⅱ) 사실』에서 ①불교의 구성(삼법인-연기-팔정도-사성제)과 ②총론 : 사실(삼법인 → 연기) → 팔정도 → 진리(사실 위에 만들어지는 불교를 포괄하는 개념 = 사성제)의 두 부분을 발췌하여 교재로 사용하였습니다.
(MN 141-진리의 분석 경)은 사리뿟따 존자가 사성제(四聖諦)를 분석하는 과정의 단순한 전개를 보여줍니다.
1. 부처님이 전법륜(轉法輪) 한 사건을 소개함 → (SN 56.11-전법륜경) : 고(苦)-고집(苦集)-고멸(苦滅)-고멸도(苦滅道)의 정의 → 삼전십이행(三轉十二行) → 법안(法眼)이 생김 → 신들의 찬탄 → ‘안냐시꼰단뇨’라는 이름을 수여함
2. 부처님이 사리뿟따 존자와 마하목갈라나 존자와 함께 교제하고 실천하라고 권하고 거처로 들어감
• 사리뿟따 ― 낳는 자와 같고, 예류과(預流果)로 이끎 & 사성제(四聖諦)를 상세하게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하는 것이 가능
• 목갈라나 ― 태어난 자를 양육하는 자와 같고, 가장 높은 곳으로 이끎
3. 사리뿟따 존자가 고(苦)-고집(苦集)-고멸(苦滅)-고멸도(苦滅道)를 정의하고 분석함
수업에서는 사성제를 개괄하여 설명하였는데, 『불교입문(Ⅱ) 사실』에서 두 부분(*)을 발췌하여 교재로 사용하였습니다.
• 교재 : 사성제(四聖諦) 개괄 ⇒ pdf 파일 첨부
(*) 부분① ― 불교의 구성 ― 「불교는 오온(五蘊)과 열반(涅槃)으로 구성되는 ①삼법인(三法印)과 오온의 영역에서의 조건성인 ②연기(緣起)와 열반의 실현을 이끄는 ③팔정도(八正道) 그리고 이 세 가지를 포괄하는 진리인 ④사성제(四聖諦)의 네 가지로 구성됩니다.」
부분② ― 총론 : 사실(삼법인 → 연기) → 팔정도 → 진리(사실 위에 만들어지는 불교를 포괄하는 개념 = 사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