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가자에게 하는 보시]12. dakkhiṇāvibhaṅgasuttaṃ (MN 142)[보시(布施) 분석의 경]
4. vibhaṅgavaggo, 12. dakkhiṇāvibhaṅgasuttaṃ (MN 142)[보시(布施) 분석의 경]
“catasso kho imā, ānanda, dakkhiṇā visuddhiyo. katamā catasso? atthānanda, dakkhiṇā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atthānanda, dakkhiṇā paṭiggāhakato visujjhati no dāyakato. atthānanda, dakkhiṇā neva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atthānanda, dakkhiṇā dāyakato ceva visujjhati paṭiggāhakato ca.
아난다여, 이런 네 가지 청정한 보시(布施)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아난다여, 주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받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들이 있다. 아난다여, 받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주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들이 있다. 아난다여, 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지 않는 보시들이 있다. 아난다여, 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는 보시들이 있다.
“kathañcānanda, dakkhiṇā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idhānanda, dāyako hoti sīlavā kalyāṇadhammo, paṭiggāhakā honti dussīlā pāpadhammā — evaṃ kho, ānanda, dakkhiṇā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아난다여, 어떻게 주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받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들이 있는가? 아난다여, 여기 계를 중시하고 선한 성품을 지닌 주는 자가 있고, 계를 경시하고 악한 성품을 지닌 받는 자들이 있다. ㅡ 아난다여, 이렇게 주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받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들이 있다.
“kathañcānanda, dakkhiṇā paṭiggāhakato visujjhati no dāyakato? idhānanda, dāyako hoti dussīlo pāpadhammo, paṭiggāhakā honti sīlavanto kalyāṇadhammā — evaṃ kho, ānanda, dakkhiṇā paṭiggāhakato visujjhati no dāyakato.
아난다여, 어떻게 받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주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들이 있는가? 아난다여, 여기 계를 경시하고 악한 성품을 지닌 주는 자가 있고, 계를 중시하고 선한 성품을 지닌 받는 자들이 있다. ㅡ 아난다여, 이렇게 받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주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들이 있다.
“kathañcānanda, dakkhiṇā neva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idhānanda, dāyako ca hoti dussīlo pāpadhammo, paṭiggāhakā ca honti dussīlā pāpadhammā — evaṃ kho, ānanda, dakkhiṇā neva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아난다여, 어떻게 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지 않는 보시들이 있는가? 아난다여, 여기 계를 경시하고 악한 성품을 지닌 주는 자가 있고, 계를 경시하고 악한 성품을 지닌 받는 자들이 있다. ㅡ 아난다여, 이렇게 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지 않는 보시들이 있다.
“kathañcānanda, dakkhiṇā dāyakato ceva visujjhati paṭiggāhakato ca? idhānanda, dāyako ca hoti sīlavā kalyāṇadhammo, paṭiggāhakā ca honti sīlavanto kalyāṇadhammā — evaṃ kho, ānanda, dakkhiṇā dāyakato ceva visujjhati paṭiggāhakato ca. imā kho, ānanda, catasso dakkhiṇā visuddhiyo”ti.
아난다여, 어떻게 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는 보시들이 있는가? 아난다여, 여기 계를 중시하고 선한 성품을 지닌 주는 자가 있고, 계를 중시하고 선한 성품을 지닌 받는 자들이 있다. ㅡ 아난다여, 이렇게 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는 보시들이 있다. 아난다여, 이런 네 가지 청정한 보시(布施)가 있다.
idamavoca bhagavā. idaṃ vatvāna sugato athāparaṃ etadavoca satthā —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스승인 선서(善逝)는 이것을 말한 뒤에 다시 이것을 말했다. ㅡ
382. “yo sīlavā dussīlesu dadāti dānaṃ,
dhammena laddhaṃ supasannacitto.
abhisaddahaṃ kammaphalaṃ uḷāraṃ,
sā dakkhiṇā dāyakato visujjhati.
계를 중시하는 자가 계를 경시하는 자들에 대해 보시를 한다.
아주 순수한 마음을 가진 자가 법답게 얻어진 것을.
업(業)의 결실이 크다는 확고한 믿음을 가진 자가,
그 보시는 주는 자 때문에 청정해진다.
“yo dussīlo sīlavantesu dadāti dānaṃ,
adhammena laddhaṃ appasannacitto.
anabhisaddahaṃ kammaphalaṃ uḷāraṃ,
sā dakkhiṇā paṭiggāhakato visujjhati.
계를 경시하는 자가 계를 중시하는 자들에 대해 보시를 한다.
순수하지 않은 마음을 가진 자가 법답지 않게 얻어진 것을.
업(業)의 결실이 크다는 확고한 믿음을 갖지 않은 자가,
그 보시는 받는 자 때문에 청정해진다.
“yo dussīlo dussīlesu dadāti dānaṃ,
adhammena laddhaṃ appasannacitto.
anabhisaddahaṃ kammaphalaṃ uḷāraṃ,
na taṃ dānaṃ vipulapphalanti brūmi.
계를 경시하는 자가 계를 경시하는 자들에 대해 보시를 한다.
순수하지 않은 마음을 가진 자가 법답지 않게 얻어진 것을.
업(業)의 결실이 크다는 확고한 믿음을 갖지 않은 자가,
그 보시는 큰 결실을 맺지 못한다고 나는 말한다.
“yo sīlavā sīlavantesu dadāti dānaṃ,
dhammena laddhaṃ supasannacitto.
abhisaddahaṃ kammaphalaṃ uḷāraṃ,
taṃ ve dānaṃ vipulapphalanti brūmi.
계를 중시하는 자가 계를 중시하는 자들에 대해 보시를 한다.
순수한 마음을 가진 자가 법답게 얻어진 것을.
업(業)의 결실이 크다는 확고한 믿음을 가진 자가,
그 보시는 참으로 큰 결실을 맺는다고 나는 말한다.
“yo vītarāgo vītarāgesu dadāti dānaṃ,
dhammena laddhaṃ supasannacitto.
abhisaddahaṃ kammaphalaṃ uḷāraṃ,
taṃ ve dānaṃ āmisadānānamagga”nti.
탐(貪)을 떠난 자가 탐(貪)을 떠난 자들에 대해 보시를 한다.
순수한 마음을 가진 자가 법답게 얻어진 것을.
업(業)의 결실이 크다는 확고한 믿음을 가진 자가,
그 보시는 참으로 물질적인 보시 가운데 으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