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42. 보시의 분석 경[보시의 공덕과 포교의 공덕 & 최초의 비구니(고따미 경)](근본경전연구회…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142. 보시의 분석 경[보시의 공덕과 포교의 공덕 & 최초의 비구니(고따미 경)](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508)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JTD2BfKGVv0&t=430s
『불교입문(1-소유)』에 다섯 번 인용된 비중 큰 경입니다. 부처님을 양육한 마하빠자빠띠 고따미의 공양을 상가에 대한 보시로 돌려 주는데, 부처님에 대한 보시보다도 상가에 대한 보시가 더 공덕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포교의 공덕에 대해 알려주는데, 한국불교의 현실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주제입니다. 사람에 대한 보시 14단계에 맞춰 그 공덕은 순차적으로 커지지만, 개인에 대한 보시가 상가에 대한 보시보다 클 수는 없습니다. 또한, 상가를 위한 7가지 보시와 4가지 청정한 보시도 소개합니다. 한편, 최초의 비구니인 고따미에 대한 경들을 소개하였는데, 비구니 출가의 조건으로 제시된 일곱 가지 존중법[팔경법(八敬法)/팔경계(八敬戒)]은 주목해야 합니다.
● 『불교입문(1-소유)』에 다섯 번 인용됨
1) (292쪽) [공덕 -(2)보시] 보시는 무엇입니까?
2) (307쪽) [공덕 -(2)보시] 상가에 보시할 것
3) (313쪽) [공덕 -(2)보시] 보시의 청정과 보시받을만한 사람
4) (357쪽) [공덕 -(3)오계] 오계를 포함하는 교리의 확장 ― 삼귀의-오계-예류의 4요소-사성제
5) (399쪽) [제사와 공덕 총괄 장] 공덕의 우월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경들
1. 상가에 보시할 것! ― 마하빠자빠띠 고따미가 세존을 위해 직접 만든 새 옷 한 벌을 부처님께 받아달라고 하지만, 부처님은 상가에 보시하라고 안내함 ― “고따미여, 상가에 보시하십시오. 상가에 보시할 때 그대가 가져온 것은 나에게 공양한 것도 되고 상가에 보시한 것도 될 것입니다.”
• 상가에 보시할 것 → 『불교입문(1-소유)』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58
• 마하빠자빠띠 고따미 → 별첨에서 정리 ⇒ 답글 참조('다음' 단추)
2. 아난다 존자 ― 이모, 계모, 유모, 수유자로서 세존에게 많은 도움을 준 마하빠자빠띠 고따미의 보시를 받아 줄 것을 청함 → 부처님도 마하빠자빠띠 고따미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음 ― 부처님 덕분에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지니고, 예류의 4요소를 갖추고, 사성제를 확신하게 됨
• 오계를 포함하는 교리의 확장 ― 삼귀의-오계-예류의 4요소-사성제 → 『불교입문(1-소유)』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66
3. 포교의 공덕 ― 어떤 사람 덕분에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지니고, 예류의 4요소를 갖추고, 사성제를 확신하게 되면 이 사람에게 인사하고, 자리에서 일어나고, 합장하고, 존경하고, 가사와 탁발 음식과 거처와 병의 조건으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공양하는 것으로 쉽게 은혜를 갚을 수 없음
• (AN 3.24-아주 유용함 경) 참조 ― 아주 유용한 세 가지 사람 ― ①삼보에 귀의하도록 이끈 사람[불교 신자 됨], ②사성제를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도록 이끈 사람[여실지견-예류자], ③심해탈-혜해탈의 성취로 이끈 사람[누진-아라한]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111
4. 사람에 대한 14가지 보시 ― 여래-아라한-정등각/벽지불/세존의 제자인 아라한/아라한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불환자/불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일래자/일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예류자/예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욕탐(慾貪)이 없는 외도/계를 중시하는 범부/계를 경시하는 범부/축생에게 하는 보시
5. 보시의 공덕
• 축생에게 하는 보시 ― 백 배가 기대됨
• 계를 경시하는 범부에게 하는 보시 ― 천 배
• 계를 중시하는 범부에게 하는 보시 ― 십만 배
• 욕탐(慾貪)이 없는 외도에게 하는 보시 ― 십만의 천만 배
• 예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에게 하는 보시 ― 헤아릴 수 없고 무량한 것이 기대됨 → 예류자/일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일래자/불환과의 실현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불환자/아라한과를 실현하기 위해 실천하는 사람/아라한/벽지불/여래-아라한-정등각에 대해서야 말해 무엇할 것인가!
• 공덕의 우월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경들 ― (DN 5-꾸따단따 경)/(AN 9.20-웰라마 경)/(MN 142-보시 분석 경) → 『불교입문(1-소유)』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75
6. 상가(僧伽)를 위해 행하는 일곱 가지 보시 ― 부처님을 으뜸으로 하는 양쪽 상가에 보시/여래가 반열반(般涅槃) 했을 때 양쪽 상가에 보시/비구 상가에 보시/비구니 상가에 보시/‘상가로부터 이 만큼의 비구와 비구니를 저에게 특정해 주십시오.’라면서 보시/‘상가로부터 이 만큼의 비구를 저에게 특정해 주십시오.’라면서 보시/‘상가로부터 이 만큼의 비구니를 저에게 특정해 주십시오.’라면서 보시
→ “미래에 목에 노란 가사를 두르고, 계를 경시하고, 악한 법을 지닌 고뜨라부들이 있을 것이다. 상가를 위하여, 계를 경시하는 그들에 대해 보시할 것이다. 그때도, 아난다여, 상가를 위해 행하는 보시는 헤아릴 수 없고 무량하다고 나는 말한다. 그러나 아난다여, 어떤 방법에 의해서든 상가를 위해 행하는 보시보다 사람에 대한 보시가 더 큰 결실이 있다고 나는 말하지 않는다.”
7. 네 가지 청정한 보시(布施) ― 주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받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받는 자 때문에 청정해지고 주는 자 때문은 아닌 보시/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지 않는 보시/주는 자 때문에도 받는 자 때문에도 청정해지는 보시
• 보시의 청정과 보시받을만한 사람 → 『불교입문(1-소유)』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60
→ (게송) 다섯 번째 ― “탐(貪)이 없는 자, 고운 심(心)을 가진 자가 업(業)의 결실이 크다는 믿음을 가지고, 법답게 얻어진 것을 탐(貪)이 없는 자들에게 보시할 때 그 보시는 참으로 물질적인 보시 가운데 으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