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마무리 수업) ― 1. 불교의 분기점(takka)[딱까를 해석한 불교 & 해석하지 못한 불교](근본경…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마무리 수업) ― 1. 불교의 분기점(takka)[딱까를 해석한 불교 & 해석하지 못한 불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717)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h-LNNgJ4VAE&t=1s
takka(사유 혹은 애(愛)의 형성 과정)을 해석한 경우와 해석하지 못한 경우의 불교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이 구체적 상황을 지시하는지 아닌지의 차이이기 때문입니다. takka가 해석되지 않은 불교는 삶의 모습과 깨달음의 경지 그리고 깨달음의 과정을 명확하게 설파하지 못하고, 후대의 사람들은 제각각의 이해로써 그 자리를 설명합니다. 그래서 불교라는 하나의 종교 안에서 이런 주제들이 다양하게 제시됩니다. 그러나 해석된 불교는 이런 주제들을 명확하게 설파하고, 후대의 사람들은 가르침에 일치하는 법을 실천합니다. 그래서 앞으로의 불교는 takka를 해석한 불교(애(愛)의 형성 과정)와 해석하지 못한 불교(사유)로 구분될 것입니다.
2020년 10월 7일 시작하여 2024년 7월 17일에 152개 경을 관통한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의 핵심 성과는 고집(苦集)인 연기(緣起)를 도식화한 「삶의 메커니즘」이 정교해진 점과 고멸도(苦滅道)인 팔정도(八正道)를 도식화한 수행지도(修行地圖)가 골격을 갖추게 된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성과를 연결하는 takka[애(愛)의 형성 과정]의 구명 과정에서 탐(貪)-진(嗔)-치(癡)에 대해 비교적 깊은 이해를 하게 된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이 법회는 15주간의 품(品)별 정리가 이어지는데, 「삶의 메커니즘」과 수행지도(修行地圖) 위에서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 삶의 메커니즘(24.07.06)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4&wr_id=1
• 수행지도(修行地圖) ― 다양한 관점에서 그려짐 → 「takka를 중심에 둔 수행지도(修行地圖)」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5&wr_id=17
한편, 부처님의 깨달음의 소회를 드러내는 (SN 6.1-범천의 요청 경) 등은 부처님이 성취한 법의 중심을 atakkāvacaro라고 제시하는데, 전통적 해석은 takka에 대한 해석의 문제로 ‘사유의 영역을 넘어선/사유가 미치지 않는’ 정도로 구체적 의미를 담지 않은 해석을 하고 있지만, 근본경전연구회는 ‘takka[애(愛)의 형성 과정]의 영역을 넘어선’이라고 하여 구체적 의미를 담아서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takka를 해석한 경우와 해석하지 못한 경우의 불교는 차이가 큽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이 구체적 상황을 지시하는지 아닌지의 차이이기 때문입니다. takka가 해석되지 않은 경우의 불교는 삶의 모습과 깨달음의 경지 그리고 깨달음의 과정을 명확하게 설파하지 못하고, 후대의 사람들은 제각각의 이해로써 그 자리를 설명합니다. 그래서 불교라는 하나의 종교 안에서 삶의 모습과 깨달음의 경지 그리고 깨달음의 과정이 다양하게 제시됩니다.
그러나 takka가 해석된 경우의 불교는 삶의 모습과 깨달음의 경지 그리고 깨달음의 과정을 명확하게 설파하고, 후대의 사람들은 가르침에 일치하는 법을 배워 알고 실천합니다. 그래서 불교라는 하나의 종교 안에서 삶의 모습과 깨달음의 경지 그리고 깨달음의 과정이 단일해야 함을 주장합니다.
여태까지는 takka가 해석되지 못해서 구분의 필요가 없었지만, 근본경전연구회 해피법당이 takka를 해석하였기 때문에 앞으로의 불교는 takka를 해석한 불교와 해석하지 못한 불교로 구분될 것입니다.
▣ 주제의 확장 ― 「불교의 분기점 ― atakkāvacaro에서 takka의 해석」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433
이 주제는 해피스님과의 대화 – 서울 모임 등에서도 강의하였습니다.
; 해피스님과의 대화(서울 240713) ― 1. 딱까(takka) - 위대한 발견[부처님의 깨달음은 명확한가, 명확하지 않은가](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09&wr_id=108
; [불교의 요점 시리즈 - 아침독송(240718)] (SN 22.115-법을 설하는 자-오온)와 (SN 35.155-법을 설하는 자 질문 경-육처) & 딱까를 해석한 불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8_02no&wr_id=183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