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66-자신을 해침 경)[죽음의 공격을 방어하는 삶](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109)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66-자신을 해침 경)[죽음의 공격을 방어하는 삶](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109)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J1HexYoffsA
(SN 1.66-자신을 해침 경)은 번뇌의 영향 위에서 탐진치와 함께하는 유위(有爲)의 존재 즉 중생의 삶의 영역인 세상(loka)에서 죽음이 공격하고 늙음이 따라오는 현상, 애(愛)의 화살로써 괴롭히고, 원함이란 연기를 수반하는 불꽃에 그을리는 괴로운 삶을 설명합니다.
이렇게 죽음이 늘 나를 공격하고 있다는 관점은 중요한데, 죽음에 대한 사띠와 연결됩니다.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349&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350
그런데 늙음과 죽음 그리고 애(愛)의 화살이라는 익숙한 용어와 대등하게 제시되는 원함은 무엇입니까?
원함(icchā)은 구부득고(求不得苦-yampicchaṃna labhati tampi dukkhaṃ-원하지만 얻지 못하는 괴로움)의 중심 개념이고, 원하는 것이 적음(appiccha)으로도 나타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경에서는 애(愛)의 화살을 맞으면서도 원함을 통해 괴로움을 겪는 것을 원함의 연기에 그을린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SN 35.28-불탐 경)의 주제와 연결됩니다.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254
이 경을 포함하여 이어지는 4개의 경은 늙음-죽음-애(愛)-고(苦)-원함의 5가지 개념을 함께 서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