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catucakkasuttaṃ (SN 1.29-네 개의 바퀴 경) = (SN 2.28-난디위살로 경)
3. sattivaggo, 9. catucakkasuttaṃ (SN 1.29-네 개의 바퀴 경) = (SN 2.28-난디위살로 경)
29.
paṅkajātaṃ mahāvīra, kathaṃ yātrā bhavissatī”ti.
• yātrā: travel; voyage; support of life. (f.)
진흙에서 생겨나서 4개의 바퀴와 9개의 문을 가졌고, 망(望) 때문에 완전히 묶인 존재.
대웅(大雄)이시여, 어떻게 헤쳐가야 합니까?
samūlaṃ taṇhamabbuyha, evaṃ yātrā bhavissatī”ti.
가죽끈과 띠 그리고 다양한 원함에서 생기는 악(惡)한 망(望)을 끊고서
애(愛)를 뿌리로부터 파내면서 이렇게 헤쳐나갈 것입니다.
※ (SN 1.46-요정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1&wr_id=12
“accharāgaṇasaṅghuṭṭhaṃ, pisācagaṇasevitaṃ.
vanantaṃ mohanaṃ nāma, kathaṃ yātrā bhavissatī”ti.
“요정의 무리가 나타나고, 귀신의 무리를 만나게 되는
미혹의 숲이라고 불리는 그곳을 어떻게 헤쳐가야 합니까?”
※ (KN 2.26-바라문 품) 398.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3_13&wr_id=2
chetvā naddhiṃ varattañca, sandānaṃ sahanukkamaṃ.
ukkhittapalighaṃ buddh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가죽끈, 띠, 사슬, 굴레를 끊고
빗장을 들어 올린 깨달은 자(부처).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