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25-아라한 경)[아라한 - '나'라고 할 수 있을까 & (자기화) 되돌아올 수 있을까](…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25-아라한 경)[아라한 - '나'라고 할 수 있을까 & (자기화) 되돌아올 수 있을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107)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mkGNUjetnDA
1. 아라한이 ‘내가 말한다’라거나, ‘그들이 나에게 말한다’라고 말할 수 있는지의 질문에 그럴 수 있다고 답하는데,
상(常)-락(樂)-아(我)-정(淨)의 전도된 상(想)-심(心)-견해의 중생으로의 ‘나’가 아닌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부정(不淨)의 전도되지 않은 상(想)-심(心)-견해의 아라한으로의 나[무아(無我)]
를 관계의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경은 이어서 아라한이 다시 자기화(māna)되어 상(常)-락(樂)-아(我)-정(淨)의 전도된 상(想)-심(心)-견해의 중생으로의 ‘나’를 사용할 수 있느냐고 질문하는데,
(나를 만들고 나의 것을 만드는) 자기화가 버려진 자에게는 매듭들이 없어서 자기화의 매듭이 완전히 풀렸기 때문에
(유위의) 생각을 극복한 현자(賢者)인 아라한은 오직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부정(不淨)의 전도되지 않은 상(想)-심(心)-견해의 아라한으로의 나[무아(無我)]
를 관계의 측면에서 사용할 뿐 다시 자기화 즉 중생으로 되돌아올 수 없다고 답합니다.
• [vohāra] - 1.포괄적 의미에서의 삶, 2.제한적으로 지칭되는 언어적인 삶[표현] ☞ https://cafe.naver.com/happybupdang/10372
• ganthasuttaṃ (SN 45.175-매듭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01_14&wr_id=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