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dukkarasuttaṃ (SN 1.17-행하기 어려움 경)
2. nandanavaggo, 7. dukkarasuttaṃ (SN 1.17-행하기 어려움 경)
17. “dukkaraṃ duttitikkhañca, abyattena ca sāmaññaṃ.
bahūhi tattha sambādhā, yattha bālo visīdatī”ti.
배우지 못한 자의 사문 생활은 행하기 어렵고 참기 어렵습니다.
거기에는 많은 압박이 있어서 어리석은 자는 잠깁니다.
“katihaṃ careyya sāmaññaṃ, cittaṃ ce na nivāraye.
pade pade visīdeyya, saṅkappānaṃ vasānugo”ti.
만약 심(心)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저는 얼마 동안이나 사문 생활을 살아가야 합니까?
사유들에 순종하는 자는 걸음걸음마다 잠길 것입니다.
“kummova aṅgāni sake kapāle,
samodahaṃ bhikkhu manovitakke.
anissito aññamaheṭhayāno,
parinibbuto nūpavadeyya kañcī”ti.
• aheṭhayāna 괴롭히지 않는
거북이가 부분들을 자신의 등딱지에 넣듯이
비구는 의(意)의 위딱까들을 거두어들인다.
다른 것을 의지하지 않고 남을 해치지 않으며
완전히 꺼져서 누구도 비난하지 않아야 한다.
※ vitakka는 대념처경 등에서 보듯이 외입처에 대한 vitakka로 나타남. 여기서 의(意)의 vitakka의 의(意)는 내입처가 아니라 심-의-식의 의(意)임.
※ (SN 35.240-거북 비유 경)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