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17-행하기 어려움 경)[사문 생활에서 잠김의 극복 - 거북 비유](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SN 1.17-행하기 어려움 경)[사문 생활에서 잠김의 극복 - 거북 비유](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025)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Ggo-Dvt_SCQ
(SN 1.17-행하기 어려움 경)에서 신은 ①배우지 못한 자에게 사문 생활은 행하기 어려워서 압박에 잠기고, ②심(心)을 보호하지 못할 때 사유에 순종하는 걸음에 잠겨 사문 생활을 끝내기 힘들다고 토로합니다. 부처님은 거북이가 부분들을 자신의 등딱지에 넣듯이 비구는 의(意)의 위딱까들을 거두어들일 것을 조언합니다.
※ 관련된 경들
1. 행하기 어려움(dukkara) ― 법구경 게송 163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12&wr_id=8
2. 압박(sambādha) ― sambādhasuttaṃ (AN 9.42-압박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7_05&wr_id=1
3. 사유들에 순종 ― 재가의 삶에 연결된 기억과 사유 → (MN 119-신념처경(身念處經))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2_09&wr_id=1
4. 사유의 일어남과 소멸 ― (MN 78-사문 문디까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8_08&wr_id=1
; 불선(不善)의 사유(소유의 사유, 분노의 사유, 폭력의 사유) ― 초선(初禪)에서 소멸
; 선(善)의 사유(출리의 사유, 분노하지 않는 사유, 비폭력의 사유) ― 제이선(第二禪)에서 소멸
5. 거북의 비유 ― (SN 35.240-거북 비유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110
※ vitakka는 대념처경 등에서 보듯이 외입처에 대한 vitakka로 나타남. 여기서 의(意)의 vitakka의 의(意)는 내입처가 아니라 심-의-식의 의(意)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