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manonivāraṇasuttaṃ (SN 1.24-의(意)의 보호 경)
3. sattivaggo, 4. manonivāraṇasuttaṃ (SN 1.24-의(意)의 보호 경)
24. “yato yato mano nivāraye,
na dukkhameti naṃ tato tato.
sa sabbato mano nivāraye,
sa sabbato dukkhā pamuccati”.
• nivāreti: prevents; keeps back; forbids; obstructs. (ni + var + e) ①보호하다. 방어하다. 방호하다. ②막다. 금지하다. → opt. nivāreyya. nivāraye. grd. nivāraya. pp. nivārita.
[신(神)] 의(意)가 보호될 때마다 그에게 괴로움은 오지 않습니다.
모든 것으로부터 의(意)가 보호될 때 모든 것으로부터의 괴로움에서 벗어납니다.
“na sabbato mano nivāraye,
na mano saṃyatattamāgataṃ.(*) (PTS) Mano yatattamāgataṃ
yato yato ca pāpakaṃ,
tato tato mano nivāraye”ti.
• saṃyata ①억제된. 제어된. 자제된. ②다져진. 튼튼한. → saṃyata-tta (추상명사화)
[불(佛)] 모든 것으로부터 의(意)가 보호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의(意)가 제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악(惡)이 있을 때마다 의(意)는 보호되어야 한다.
• nīvaraṇa: obstacle or hindrance (to the progress of mind). (nt.)
• nivāraṇa: prevention; warding off; refusal. (nt.)
※ (PTS)
Evam me su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
이렇게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Eka-m-antaṃ ṭhitā kho sā devatā Bhagavato santike imaṃ gāthaṃ abhāsi:|| ||
한 곁에 선 그 천신은 세존이 곁에서 이런 게송을 말했다.
[14] "Yato yato mano nivāraye||
Na dukkhameti naṃ tato tato,||
Sa sabbato manonivāraye||
Sa sabbato dukkhā pamuccatī" ti.|| ||
어떠한 마음[意]이건 고삐를 죄면
거기서 괴로움은 오지 않는다네.
모든 곳에서 마음의 고삐를 죄면
모든 괴로움에서 해탈합니다.
(Bhagavā:)|| ||
"Na sabbato mano nivāraye||
Mano yatattamāgataṃ,||
Yato yato ca pāpakaṃ||
Tato tato mano nivāraye" ti.
마음[意]이 이미 잘 제어되어 있다면
모든 곳에서 마음 고삐 죌 필요는 없으리.
그에게서 사악함이 생겨나올 때
그런 때에 마음 고삐 죄어야 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