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6-깨어있음 경)[사띠(깨어있는 삶)와 장애(잠든 삶-오염)와 기능(정화)](근본경전연구회…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SN 1.6-깨어있음 경)[사띠(깨어있는 삶)와 장애(잠든 삶-오염)와 기능(정화)](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013)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AFhsUyFTCM
(SN 1.6-깨어있음 경)은 (SN 1.80-빛 경)이 말하는 ‘사띠가 세상에 대한 깨어남(눈뜸-jāgara)이다.’라는 설명 위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1&wr_id=8
● “깨어있는 자들에게 다섯 가지가 잠들어 있고, 잠든 자들에게 다섯 가지가 깨어있습니다. 다섯 가지에 의해서 더렵혀지고, 다섯 가지에 의해서 깨끗해집니다.”
; 깨어있는 자 ― 사띠하는 자 = 사념처(四念處) = 심(心)에서 다섯 가지 장애를 밀어내는 역할
; 잠들어 있는 것 ― 다섯 가지 장애 → 사띠하는 자에게 다섯 가지 장애가 작용하지 못함
; 잠든 자 = 사띠를 잊은 자 → 다섯 가지 장애를 밀어내지 못함 → 다섯 가지 장애가 깨어남 = 다섯 가지 장애가 심(心)을 차지하고 작용함
; 다섯 가지 장애 = 심(心)의 오염원 ― 심(心)이 더러워짐
; 사념처(四念處)에 의해 다섯 가지 장애를 밀어내면 심(心)이 청정해짐 → 「수행의 주심 개념」에 의하면, 사념처에 의해 사띠-삼매-지혜가 함께 닦아지고, 사념처를 닦는 과정은 믿음과 정진을 포함함 → 오근(五根)[믿음-정진-사띠-삼매-지혜] → ‘다섯 가지에 의해 깨끗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