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jaṭāsuttaṃ (SN 1.23-엉킴 경)
3. sattivaggo, 3. jaṭāsuttaṃ (SN 1.23-엉킴 경)
23. “anto jaṭā bahi jaṭā, jaṭāya jaṭitā pajā.
taṃ taṃ gotama pucchāmi, ko imaṃ vijaṭaye jaṭan”ti.
“안의 엉킴과 밖의 엉킴, 사람들은 엉킴에 의해 엉켜 있습니다.
고따마여, 거듭 그것을 묻습니다. 누가 이 엉킴을 풉니까?”
“sīle patiṭṭhāya naro sapañño, cittaṃ paññañca bhāvayaṃ.
ātāpī nipako bhikkhu, so imaṃ vijaṭaye jaṭaṃ.
• bhāvayaṃ - bhāvayanto : bhāveti의 ppr.sg.nom.
“계(戒)에 확고히 서서 심(心)과 지혜를 닦는 지혜로운 사람,
노력하는 자, 신중한 비구가 그 엉킴을 풉니다.
“yesaṃ rāgo ca doso ca, avijjā ca virājitā.
khīṇāsavā arahanto, tesaṃ vijaṭitā jaṭā.
탐(貪)과 진(嗔)과 무명(無明)이 바랜 번뇌 다한 비구들(*).
그들에게 엉킴은 풀렸습니다.
“yattha nāmañca rūpañca, asesaṃ uparujjhati.
paṭighaṃ rūpasaññā ca, etthesā chijjate jaṭā”ti.
명(名)과 색(色) 그리고 저항과 색상(色想)이 완전히 멈추는 곳
여기서 이 엉킴이 끊어집니다.
(*) 「법구경 강의(230419) ― 26. 바라문 품, 게송(405-407)[폭력적이지 않음, 치(癡) = ①무명+번뇌, ②자기화+위선](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에서 정리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3_13&wr_id=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