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43-음식 경)[보시=인간을 넘어선 삶(약카) & 공덕은 저세상에서의 버팀목](근본경전연구…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43-음식 경)[보시=인간을 넘어선 삶(약카) & 공덕은 저세상에서의 버팀목](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202)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1NWNKjQh7M
(SN 1.43-음식 경)은 신과 인간이 기뻐하는(abhinandati) 음식을 기뻐하지 않는 약카가 누구인지 묻는 신에게 부처님이 깨끗한 심(心)과 믿음으로 보시하는 사람들이라고 답함으로써 보시가 인간을 넘어선 삶(약카)이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 기뻐하고 드러내고 묶여 머물다(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 (SN 35.183-낚시꾼 비유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2
보시는 베푸는 것인데 베푼 그것은 이 세상과 저세상에서 따라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인색을 제어하고 더러움을 극복하고 보시해야 합니다. 그러면 보시에서 생기는 공덕은 저세상의 버팀목이 됩니다.
• ‘공덕은 저세상의 버팀목’의 용례 ― 「불교입문(1-소유 210817) 공덕의 주요 용례[3~4](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53
한편, (DN 32-아따나띠야 경)은 약카를 사왕천(四王天)의 북쪽에 사는 신들의 이름으로 설명하는데, 폭력적인 약카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아따나띠야 보호구문을 설합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3_09&wr_id=1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