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79-여행의 준비물 경)[믿음-명예-원함(구부득고 & 원하는 것이 적은 사람)](근본경전연…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79-여행의 준비물 경)[믿음-명예-원함(구부득고 & 원하는 것이 적은 사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130)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tY3qxzfgeM
여행의 준비물을 묶는 것과 재물을 기울게 하는 것 그리고 사람을 끌어당기고 세상에서 버리기 어렵고 대부분의 중생이 묶여있는 것은 무엇인지의 질문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입니다.
1. 여행의 준비물을 묶는 것 = 믿음
여행은 몸과 함께하는 삶의 과정을 말하는데, 준비물을 갖춘 뒤 잘 묶어서 등에 메고 걸어가야 합니다. 준비물로는 삶의 향상을 이끄는 다양한 법들을 말할 수 있는데, 이 법들을 묶어서 안정되게 멜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믿음이라는 설명입니다.
2. 재물을 기울게 하는 것 = 행운/영예
업을 바르게 제어함으로써 재물을 얻고 지켜야 하는데 행운으로 얻어진 재물은 쉬 소진될 수 있다는 관점 또는 영예/명예에 취하면 재물을 소진할 수 있다는 관점을 설명합니다.
3. 사람을 끌어당기고 세상에서 버리기 어렵고 대부분의 중생이 묶여있는 것 = 원함(icchā)
※ 원함(icchā)의 주요 용례
•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구부득고(求不得苦)]이다.
• (AN 8.30-아누룻다 대인의 생각 경) : 여덟 가지 대인(大人)의 생각 ― appicch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a 이 법은 원하는 것이 적은 사람을 위한 것이다. 이 법은 원하는 것이 많은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6_03&wr_id=3
• (AN 8.24-핫타까 경2) : 놀랍고 신기한 여덟 가지 법을 갖춘 알라위의 핫타까 ― appiccho, bhikkhave, hatthako āḷavako 알라위의 핫타까는 원하는 것이 적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6_03&wr_id=6
그런데 원함은 더 나아가면 얻음(lābha)으로 연결되는데, (SN 17-얻음과 존경 상윳따)의 중심 주제로 나타납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2_06
tasmātiha, bhikkhave, evaṃ sikkhitabbaṃ — ‘uppannaṃ lābhasakkārasilokaṃ pajahissāma, na ca no uppanno lābhasakkārasiloko cittaṃ pariyādāya ṭhassatī’ti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생겨난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우리는 버릴 것이다. 생겨난 얻음과 존경과 명성이 심(心)을 소진하여 머물지 못할 것이다.’라고.
lābha: gain; acquisition. (m.)
sakkāra: honour; hospitality. (m.)
siloka: 1. fame; 2. a verse.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