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공부 ― (SN 1.3-이끌림 경 upanīyasuttaṃ)[깨달음을 겨냥한 자와 하늘을 겨냥한 자 & 공덕과 미끼](근본…
▣ 아침공부 ― (SN 1.3-이끌림 경 upanīyasuttaṃ)[깨달음을 겨냥한 자와 하늘을 겨냥한 자 & 공덕과 미끼](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011)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8Y3tzDcDJoc
어떤 천신은 “수명은 짧고, 삶은 이끌린다. 늙음에 이끌린 자에게 피난처는 없다. 죽음에 대한 이런 두려움을 보는 자는 행복을 가져오는 것인 공덕을 지어야 한다.”라고 말하고, 부처님은 “수명은 짧고, 삶은 이끌린다. 늙음에 이끌린 자에게 피난처는 없다. 죽음에 대한 이런 두려움을 보는 자, 평화를 바라는 자는 세상의 미끼를 버려야 한다.”라고 답합니다.
1. 피난처는 tāṇa인데, 무위(無爲)의 동의어입니다. → 「법구경 강의(221012) ― 6. 현명한 자 품, 게송(85-86)[죽음의 왕국의 저편 = 무위-열반]」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06&wr_id=6
2. (MN 22-뱀의 비유 경)은 뗏목의 비유와 관련하여 ‘①깨달음을 겨냥한 자’로의 법을 따르는 자와 믿음을 따르는 자 이상의 성자와 ‘②하늘을 겨냥한 자’로의 부처님을 믿고 사랑하는 범부를 구분합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3_02&wr_id=10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보는 자와 거기에 더해 평화를 바라는 자의 구분은 ‘①깨달음을 겨냥한 자’와 ‘②하늘을 겨냥한 자’의 구분과 같습니다. 이때, 세상의 미끼는 (MN 25-미끼 경)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3_05&wr_id=2
3. 행복을 가져오는 것인 공덕 → 공덕의 개념 ― ①행복을 가져오는 것, ②죽을 때 가져가는 것, ③저세상의 버팀목이 되는 것 → 「불교입문(1-소유 210720) 공덕의 의미와 만드는 방법」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2&wr_id=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