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1.9-자기화를 즐기는 자 경)[자기화와 방일-불방일 & 죽음의 땅을 건넘](근본경전연구회 해…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SN 1.9-자기화를 즐기는 자 경)[자기화와 방일-불방일 & 죽음의 땅을 건넘](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016)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QJvy3-PMzCM
(SN 1.9-자기화를 즐기는 자 경)에서 어떤 천신은 “여기, 자기화를 즐기는 자에게는 길들임이 없고, 삼매를 닦지 않는 자에게는 지혜가 없으며, 숲에서 살지만 방일한 어떤 자는 죽음의 땅에서 저쪽 언덕으로 건너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건너지 못하는 방일한 자를 설명하고,
부처님은 “자기화를 버리면서 삼매를 잘 닦는 자, 훌륭한 심(心)으로 모든 곳에서 해탈하는 자, 숲에서 살면서 방일하지 않는 어떤 자는 죽음의 땅에서 저쪽 언덕으로 건널 것이다.”라고 건너는 불방일한 자를 설명합니다.
이때, 자기화(māna)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3&wr_id=87에서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방일과 불방일은 여러 경우로 나타나는데, 일반적인 게으름 정도의 의미가 확장되면
• (SN 55.40-난디야 경)은 네 가지 예류(預流)의 구성요소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12_04&wr_id=11
• (SN 35.97-방일에 머무는 자 경)은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의한 법의 드러남의 관점에서 설명하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1
• (MN 97-다난자니 경)은 십악업을 버리고 십선업을 닦는 삶의 실천 여부로써 설명하고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0_07&wr_id=2
• (AN 4.116-불방일 경)은 신(身)-구(口)-의(意)의 나쁜 행위를 버리고 좋은 행위를 닦음과 삿된 견해를 버리고 바른 견해를 닦음을 네 가지 경우의 불방일로 설명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8_02&wr_id=2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