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pātheyyasuttaṃ (SN 1.79-여행의 준비물 경)
8. chetvāvaggo, 9. pātheyyasuttaṃ (SN 1.79-여행의 준비물 경)
79.
kiṃsu naraṃ parikassati, kiṃsu lokasmi dujjahaṃ.
kismiṃ baddhā puthū sattā, pāsena sakuṇī yathā”ti.
무엇이 여행의 준비물을 묶고, 무엇이 재물을 기울게 합니까?
무엇이 사람을 끌어당기고, 무엇이 세상에서 버리기 어렵습니까?
새가 덫에 걸려있듯이, 무엇에 대부분의 중생은 묶여 있습니까?
icchā naraṃ parikassati, icchā lokasmi dujjahā.
icchābaddhā puthū sattā, pāsena sakuṇī yathā”ti.
믿음이 여행의 준비물을 묶고, 행운/영예가 재물을 기울게 한다.
원함이 사람을 끌어당기고, 원함이 세상에서 버리기 어렵다.
새가 덫에 걸려있듯이, 원함에 대부분의 중생은 묶여 있다.
•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구부득고(求不得苦)]이다.
• (AN 8.30-아누룻다 대인의 생각 경) : 여덟 가지 대인(大人)의 생각 ― appicchassāyaṃ dhammo, nāyaṃ dhammo mahicchassa 이 법은 원하는 것이 적은 사람을 위한 것이다. 이 법은 원하는 것이 많은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6_03&wr_id=3
• (AN 8.24-핫타까 경2) : 놀랍고 신기한 여덟 가지 법을 갖춘 알라위의 핫타까 ― appiccho, bhikkhave, hatthako āḷavako 알라위의 핫타까는 원하는 것이 적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6_03&wr_id=6
※ (SN 17-얻음과 존경 상윳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2_06
tasmātiha, bhikkhave, evaṃ sikkhitabbaṃ — ‘uppannaṃ lābhasakkārasilokaṃ pajahissāma, na ca no uppanno lābhasakkārasiloko cittaṃ pariyādāya ṭhassatī’ti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생겨난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우리는 버릴 것이다. 생겨난 얻음과 존경과 명성이 심(心)을 소진하여 머물지 못할 것이다.’라고.
lābha: gain; acquisition. (m.)
sakkāra: honour; hospitality. (m.)
siloka: 1. fame; 2. a verse.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