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devaputta
5. dāmalisuttaṃ (SN 2.5-다말리 경)
1. paṭhamavaggo, 5. dāmalisuttaṃ (SN 2.5-다말리 경)
86. sāvatthinidānaṃ. atha kho dāmali devaputto abhikkantāya rattiyā abhikkantavaṇṇo kevalakappaṃ jetavanaṃ obhāsetv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aṭṭhāsi. ekamantaṃ ṭhito kho dāmali devaputto bhagavato santike imaṃ gāthaṃ abhāsi —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신의 아들 다말리가 밤이 지날 무렵에 아름다운 모습으로 제따와나의 거의 전부를 빛나게 하면서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선 신의 아들 다말리는 세존의 곁에서 이런 게송을 말했다. ―
“karaṇīyametaṃ brāhmaṇena, padhānaṃ akilāsunā.
kāmānaṃ vippahānena, na tenāsīsate bhavan”ti.
kāmānaṃ vippahānena, na tenāsīsate bhavan”ti.
āsiṃsati 희망하다. 몹시 바라다.
소유의 삶을 버림으로써, 정진에 게으르지 않음으로써
바라문이 행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에 의해 존재를 바라지 않아야 합니다.
“natthi kiccaṃ brāhmaṇassa (dāmalīti bhagavā),
katakicco hi brāhmaṇo.
katakicco hi brāhmaṇo.
(세존이 ‘다말리여’라고 함) 바라문에게 해야 할 일은 없다.
참으로 바라문은 해야 할 일을 했다.
“yāva na gādhaṃ labhati nadīsu,
āyūhati sabbagattebhi jantu.
gādhañca laddhāna thale ṭhito yo,
nāyūhatī pāragato hi sova.
āyūhati sabbagattebhi jantu.
gādhañca laddhāna thale ṭhito yo,
nāyūhatī pāragato hi sova.
확고한 발판을 얻지 못한 때까지는
사람은 강에서 온몸으로 헤엄친다.
발판을 얻어서 마른 땅에 선 사람
참으로 저편에 간 그는 헤엄치지 않는다.
“esūpamā dāmali brāhmaṇassa,
khīṇāsavassa nipakassa jhāyino.
pappuyya jātimaraṇassa antaṃ,
nāyūhatī pāragato hi so”ti.
khīṇāsavassa nipakassa jhāyino.
pappuyya jātimaraṇassa antaṃ,
nāyūhatī pāragato hi so”ti.
다말리여, 이 비유는
번뇌 다하고 지혜롭고 선을 하는 바라문을 위한 것이다.
생사(生死)의 끝에 도달했기 때문에
참으로 저편에 간 그는 헤엄치지 않는다.
※ 바라문 = 악한 불선법을 제거하는(버리는) 사람 ― (DN 27.12-처음에 대한 앎 경, 바라문 계급)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3_04&wr_id=15
Comments
보인
2024.02.14 05:5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