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ghaṭīkārasuttaṃ (SN 2.24-가띠까라 경)
3. nānātitthiyavaggo, 4. ghaṭīkārasuttaṃ (SN 2.24-가띠까라 경)
ghaṭīkārasuttaṃ (SN 1.50-가띠까라 경)은 게송만으로 동일하게 설해짐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1&wr_id=30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81.가띠까라 경[부처님은 전생에 깟사빠 부처님의 제자였음](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125)」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9_01&wr_id=3
105. ekamantaṃ ṭhito kho ghaṭīkāro devaputto bhagavato santike imaṃ gāthaṃ abhāsi —
한 곁에 선 신의 아들 가띠까라는 세존의 곁에서 이런 게송을 말했다. ㅡ
avihaṃ upapannāse, vimuttā satta bhikkhavo.
rāgadosaparikkhīṇā, tiṇṇā loke visattikan”ti.
“무번천(無煩天)에 태어났던 일곱 명의 비구가 해탈하였습니다.
탐(貪)과 진(嗔)이 다하고, 세상에 대한 집착을 건넜습니다.”
“ke ca te ataruṃ paṅkaṃ, maccudheyyaṃ suduttaraṃ.
ke hitvā mānusaṃ dehaṃ, dibbayogaṃ upaccagun”ti.
“건너기 어려운 죽음의 영역, 그 진흙탕을 건넌 그들은 누구인가?
누가 인간의 몸을 부순 뒤에 하늘의 속박을 넘어섰는가?”
“upako palagaṇḍo ca, pukkusāti ca te tayo.
bhaddiyo khaṇḍadevo ca, bāhuraggi ca siṅgiyo.
te hitvā mānusaṃ dehaṃ, dibbayogaṃ upaccagun”ti.
“우빠까, 빨라간다, 뿍꾸사띠의 그 세 분
밧디야, 칸다데와, 바후락기, 싱기야
그들이 인간의 몸을 부순 뒤에 하늘의 속박을 넘어섰습니다.”
“kusalī bhāsasī tesaṃ, mārapāsappahāyinaṃ.
kassa te dhammamaññāya, acchiduṃ bhavabandhanan”ti.
“마라의 올가미를 버린 그들에 대해 그대는 능숙하게 말한다.
그들은 누구의 법에 대해 무위(無爲)의 앎을 얻은 뒤에 존재의 속박을 잘랐는가?”
“na aññatra bhagavatā, nāññatra tava sāsanā.
yassa te dhammamaññāya, acchiduṃ bhavabandhanaṃ.
“yattha nāmañca rūpañca, asesaṃ uparujjhati.
taṃ te dhammaṃ idhaññāya, acchiduṃ bhavabandhanan”ti.
”세존에게서 다른 곳이 아니고, 세존의 가르침에서 다른 곳이 아닌
그들은 그런 법에 대해 무위(無爲)의 앎을 얻은 뒤에 존재의 속박을 잘랐습니다.
명(名)과 색(色)이 남김없이 멈추는 곳, 그 법에 대해
여기에서 그들은 무위(無爲)의 앎을 얻은 뒤에 존재의 속박을 잘랐습니다.
“gambhīraṃ bhāsasī vācaṃ, dubbijānaṃ sudubbudhaṃ.
kassa tvaṃ dhammamaññāya, vācaṃ bhāsasi īdisan”ti.
“이해하기 어렵고 깨닫기에 정말 어려운 심오한 말을 그대는 한다.
그대는 누구의 법에 대해 무위(無爲)의 앎을 얻은 뒤에 이렇게 말하는가?”
“kumbhakāro pure āsiṃ, vekaḷiṅge ghaṭīkaro.
mātāpettibharo āsiṃ, kassapassa upāsako.
“virato methunā dhammā, brahmacārī nirāmiso.
ahuvā te sagāmeyyo, ahuvā te pure sakhā.
“sohamete pajānāmi, vimutte satta bhikkhavo.
rāgadosaparikkhīṇe, tiṇṇe loke visattikan”ti.
“예전에 저는 웨깔링가의 가띠까라라는 옹기장이였습니다.
부모님을 봉양하던, 깟사빠 부처님의 남신자였고,
성적 욕망에서 벗어나 음행(淫行)을 떠난, 범행(梵行)을 실천하던 자였습니다.
세존과 같은 고향이었고, 이전에 세존의 친구였습니다.
그런 저는 탐(貪)과 진(嗔)이 다하고, 세상에 대한 집착을 건넌
일곱 명의 해탈한 비구를 분명히 압니다.”
“evametaṃ tadā āsi, yathā bhāsasi bhaggava.
kumbhakāro pure āsi, vekaḷiṅge ghaṭīkaro.
mātāpettibharo āsi, kassapassa upāsako.
“virato methunā dhammā, brahmacārī nirāmiso.
ahuvā me sagāmeyyo, ahuvā me pure sakhā”ti.
“이렇게, 옹기장이여, 그대가 말하는 것처럼 그때 그대는 그랬었다.
예전에 그대는 웨깔링가의 가띠까라라는 옹기장이였고,
부모님을 봉양하던, 깟사빠 부처님의 남신자였고,
성적 욕망에서 벗어나 음행(淫行)을 떠난, 범행(梵行)을 실천하던 자였다.
나와 같은 고향이었고, 이전에 나의 친구였다.”
“evametaṃ purāṇānaṃ, sahāyānaṃ ahu saṅgamo.
ubhinnaṃ bhāvitattānaṃ, sarīrantimadhārinan”ti.
“이렇게 수행을 완성하여 마지막 몸을 가진
예전에 친구였던 두 분의 이런 만남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