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nandanasuttaṃ (SN 2.14-난다나 경)
2. anāthapiṇḍikavaggo, 4. nandanasuttaṃ (SN 2.14-난다나 경)
한 곁에 선 신의 아들 난다나가 세존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pucchāmi taṃ gotama bhūripañña,
anāvaṭaṃ bhagavato ñāṇadassanaṃ.
kathaṃvidhaṃ sīlavantaṃ vadanti,
kathaṃvidhaṃ paññavantaṃ vadanti.
kathaṃvidho dukkhamaticca iriyati,
kathaṃvidhaṃ devatā pūjayantī”ti.
“고따마시여, 광대한 지혜를 가지셨고, 앎과 봄이 열리신 그대에게 저는 묻습니다.
어떤 사람에게 계를 갖춘 자라고 말합니까?
어떤 사람에게 지혜를 갖춘 자라고 말합니까?
어떤 사람이 괴로움을 극복한 뒤 행합니까?
어떤 사람에게 신들은 예배합니까?”라고.
“yo sīlavā paññavā bhāvitatto,
samāhito jhānarato satīmā.
sabbassa sokā vigatā pahīnā,
khīṇāsavo antimadehadhārī.
”계를 중시하고 지혜롭고 잘 훈련된 사람
사띠하면서 삼매를 닦는 선(禪)을 좋아하는 사람
모든 슬픔이 멈추고 버려진 사람
번뇌가 다하고 마지막 몸을 가진 사람
• khīṇāsavo antimadehadhārī
; (SN 1.25-아라한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1&wr_id=95
; (KN 5.30-순다리까바라드와자 경) 475.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1_03&wr_id=4
“tathāvidhaṃ sīlavantaṃ vadanti,
tathāvidhaṃ paññavantaṃ vadanti.
tathāvidho dukkhamaticca iriyati,
tathāvidhaṃ devatā pūjayantī”ti.
이런 사람에게 계를 갖춘 자라고 말한다.
이런 사람에게 지혜를 갖춘 자라고 말한다.
이런 사람이 괴로움을 극복하고 행한다.
이런 사람에게 신들은 예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