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uggalasuttaṃ (SN 3.21-사람 경)
3. tatiyavaggo, 1. puggalasuttaṃ (SN 3.21-사람 경)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빠세나디 꼬살라 왕이 세존에게 갔다. 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빠세나디 꼬살라 왕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 “대왕이여, 세상에 존재하는 이런 네 부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어떤 네 부류입니까? 어둠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 어둠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 빛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 빛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어떻게, 대왕이여, 어둠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입니까? 여기 대왕이여, 어떤 사람은 낮은 집안에 태어난 자입니다. 가난하고 마실 것과 먹을 것이 없고 생계가 힘든 불가촉천민, 바구니 만드는 자, 사냥꾼, 수레공, 청소부의 집안입니다. 그곳에는 음식과 옷이 어렵게 얻어집니다. 그리고 그는 안색이 나쁘고, 용모가 추하고, 키가 작고, 병이 잦고, 외눈이거나, 기형이거나, 절름발이거나, 반신불수이고,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꽃과 향과 바를 것 그리고 침상과 거처와 밝힐 것을 충분히 얻지 못합니다. 그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하고, 말로 나쁜 행위를 하고, 의(意)로 나쁜 행위를 합니다. 그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하고, 말로 나쁜 행위를 하고, 의(意)로 나쁜 행위를 한 것을 원인으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납니다.
대왕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혼란한 상태로부터 혼란한 상태로 갈 것입니다. 또는 어둠으로부터 어둠으로 갈 것입니다. 또는 피와 똥으로부터 피와 똥으로 갈 것입니다. 대왕이여, 이런 비유로 나는 이런 사람을 말합니다. 대왕이여, 이렇게 어둠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떻게, 대왕이여, 어둠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까? 여기 대왕이여, 어떤 사람은 낮은 집안에 태어난 자입니다. 가난하고 마실 것과 먹을 것이 없고 생계가 힘든 불가촉천민, 바구니 만드는 자, 사냥꾼, 수레공, 청소부의 집안입니다. 그곳에는 음식과 옷이 어렵게 얻어집니다. 그리고 그는 안색이 나쁘고, 용모가 추하고, 키가 작고, 병이 잦고, 외눈이거나, 기형이거나, 절름발이거나, 반신불수이고,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꽃과 향과 바를 것 그리고 침상과 거처와 밝힐 것을 충분히 얻지 못합니다. 그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고, 말로 좋은 행위를 하고, 의(意)로 좋은 행위를 합니다. 그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고, 말로 좋은 행위를 하고, 의(意)로 좋은 행위를 한 것을 원인으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납니다.
예를 들면, 대왕이여, 어떤 사람이 땅으로부터 의자로 오를 것입니다. 또는 의자로부터 말 등으로 오를 것입니다. 또는 말 등으로부터 코끼리 등으로 오를 것입니다. 또는 코끼리 등으로부터 성으로 오를 것입니다. 대왕이여, 이런 비유로 나는 이런 사람을 말합니다. 이런 사람이, 대왕이여, 어둠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어떻게, 대왕이여, 빛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입니까? 여기 대왕이여, 어떤 사람은 높은 집안에 태어난 자입니다. 부유하고 아주 부자고 많은 재물을 가졌고 금과 은이 풍부하고 부와 필요품이 풍부하고 부와 곡식이 풍부한 백만장자인 끄샤뜨리야이거나 백만장자인 바라문이거나 백만장자인 장자의 집안입니다. 그리고 그는 잘생기고, 아름답고, 사랑스럽고, 뛰어난 안색의 아름다움을 갖추었고,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꽃과 향과 바를 것 그리고 침상과 거처와 밝힐 것을 충분히 얻습니다. 그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하고, 말로 나쁜 행위를 하고, 의(意)로 나쁜 행위를 합니다. 그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하고, 말로 나쁜 행위를 하고, 의(意)로 나쁜 행위를 한 것을 원인으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납니다.
예를 들면, 대왕이여, 어떤 사람이 성으로부터 코끼리 등으로 내릴 것입니다. 또는 코끼리 등으로부터 말 등으로 내릴 것입니다. 또는 말 등으로부터 의자로 내릴 것입니다. 또는 의자로부터 땅으로 내릴 것입니다. 대왕이여, 이런 비유로 나는 이런 사람을 말합니다. 이런 사람이, 대왕이여, 빛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어떻게, 대왕이여, 빛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까? 여기 대왕이여, 어떤 사람은 높은 집안에 태어난 자입니다. 부유하고 아주 부자고 많은 재물을 가졌고 금과 은이 풍부하고 부와 필요품이 풍부하고 부와 곡식이 풍부한 백만장자인 끄샤뜨리야이거나 백만장자인 바라문이거나 백만장자인 장자의 집안입니다. 그리고 그는 잘생기고, 아름답고, 사랑스럽고, 뛰어난 안색의 아름다움을 갖추었고,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꽃과 향과 바를 것 그리고 침상과 거처와 밝힐 것을 충분히 얻습니다. 그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고, 말로 좋은 행위를 하고, 의(意)로 좋은 행위를 합니다. 그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고, 말로 좋은 행위를 하고, 의(意)로 좋은 행위를 한 것을 원인으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납니다.
예를 들면, 대왕이여, 어떤 사람이 의자로부터 의자로 옮겨갈 것입니다. 또는 말 등으로부터 말 등으로 옮겨갈 것입니다. 또는 코끼리 등으로부터 코끼리 등으로 옮겨갈 것입니다. 성으로부터 성으로 옮겨갈 것입니다. 대왕이여, 이런 비유로 나는 이런 사람을 말합니다. 이런 사람이, 대왕이여, 빛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이들이, 대왕이여, 세상에 존재하는 네 부류의 사람입니다.”라고. 이렇게 말한 뒤 …
“daliddo puriso rāja, assaddho hoti maccharī.
kadariyo pāpasaṅkappo, micchādiṭṭhi anādaro.
왕이여, 어떤 사람은 가난하고 믿음이 없고 인색합니다.
이기적이고 악한 사유를 하며 삿된 견해를 가져 존경받지 못합니다.
“samaṇe brāhmaṇe vāpi, aññe vāpi vanibbake.
akkosati paribhāsati, natthiko hoti rosako.
“dadamānaṃ nivāreti, yācamānāna bhojanaṃ.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다른 걸식하는 자들을
욕하고 비난하며, 없음을 공언하고 분노합니다.
음식을 요청하는 자들에게 베푸는 것을 금지합니다.
tādiso puriso rāja, mīyamāno janādhipa.
upeti nirayaṃ ghoraṃ, tamotamaparāyano.
왕이여, 이런 사람이 죽으면, 인간의 왕이여, 끔찍한 지옥으로 갑니다.
이런 사람이 어둠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daliddo puriso rāja, saddho hoti amaccharī.
dadāti seṭṭhasaṅkappo, abyaggamanaso naro.
왕이여, 어떤 사람은 가난하지만 믿음이 있고 인색하지 않습니다.
뛰어난 사유를 하고 의(意)가 혼란스럽지 않은 사람은 베풉니다.
“samaṇe brāhmaṇe vāpi, aññe vāpi vanibbake.
uṭṭhāya abhivādeti, samacariyāya sikkhati.
“dadamānaṃ na vāreti, yācamānāna bhojanaṃ.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다른 걸식하는 자들에게
자리에서 일어나 절합니다. 안정된 행위로써 공부합니다.
음식을 요청하는 자들에게 베푸는 것을 금지하지 않습니다.
tādiso puriso rāja, mīyamāno janādhipa.
upeti tidivaṃ ṭhānaṃ, tamojotiparāyano.
왕이여, 이런 사람이 죽으면, 인간의 왕이여, 하늘로 갑니다.
이런 사람이 어둠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aḍḍho ce puriso rāja, assaddho hoti maccharī.
kadariyo pāpasaṅkappo, micchādiṭṭhi anādaro.
왕이여, 어떤 사람이 부유하지만 믿음이 없고 인색하다면
이기적이고 악한 사유를 하며 삿된 견해를 가져 존경받지 못합니다.
“samaṇe brāhmaṇe vāpi, aññe vāpi vanibbake.
akkosati paribhāsati, natthiko hoti rosako.
“dadamānaṃ nivāreti, yācamānāna bhojanaṃ.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다른 걸식하는 자들을
욕하고 비난하며, 없음을 공언하고 분노합니다.
음식을 요청하는 자들에게 베푸는 것을 금지합니다.
tādiso puriso rāja, mīyamāno janādhipa.
upeti nirayaṃ ghoraṃ, jotitamaparāyano.
왕이여, 이런 사람이 죽으면, 인간의 왕이여, 끔찍한 지옥으로 갑니다.
이런 사람이 빛에서 어둠을 향하는 사람입니다.
“aḍḍho ce puriso rāja, saddho hoti amaccharī.
dadāti seṭṭhasaṅkappo, abyaggamanaso naro.
왕이여, 어떤 사람이 부유하지만 믿음이 있고 인색하지 않다면
뛰어난 사유를 하고 의(意)가 혼란스럽지 않은 사람은 베풉니다.
“samaṇe brāhmaṇe vāpi, aññe vāpi vanibbake.
uṭṭhāya abhivādeti, samacariyāya sikkhati.
“dadamānaṃ na vāreti, yācamānāna bhojanaṃ.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다른 걸식하는 자들에게
자리에서 일어나 절합니다. 안정된 행위로써 공부합니다.
음식을 요청하는 자들에게 베푸는 것을 금지하지 않습니다.
tādiso puriso rāja, mīyamāno janādhipa.
upeti tidivaṃ ṭhānaṃ, jotijotiparāyano”ti.
왕이여, 이런 사람이 죽으면, 인간의 왕이여, 하늘로 갑니다.
이런 사람이 빛에서 빛을 향하는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