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aharasuttaṃ (SN 3.1-젊은이 경)
1. paṭhamavaggo, 1. daharasuttaṃ (SN 3.1-젊은이 경)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그때 빠세나디 꼬살라 왕이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과 함께 인사를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를 주고받은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빠세나디 꼬살라 왕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고따마 존자께서도 위 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인정하십니까?” “대왕이여, 바르게 말하는 자가 ‘위 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은 자’라고 말한다면 바로 나를 말하는 것입니다. 대왕이여, 나는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뿌라나 깟사빠, 막칼리 고살라, 니간타 나따뿟따, 산짜야 벨랏타뿟따, 빠꾸다 깟짜야나, 아지따 께사깜발라 등 따르는 자들의 무리[p.상가-승가(僧伽)]를 가졌고, 따르는 자들의 주인이고, 스승이고, 아는 자이고, 유명하고, 교단(敎團)의 설립자고, 많은 사람에 의해 존경받는 사문-바라문들도 나에게서 ‘위 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인정하십니까?’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위 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고 선언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나이도 어리고 출가한 지도 얼마 안 된 고따마 존자께서 어떻게요?”
“대왕이여,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아야 하는 이런 네 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네 가지입니까? 대왕이여, 끄샤뜨리야는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대왕이여, 뱀은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대왕이여, 불은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대왕이여, 비구는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이런 네 가지는, 대왕이여,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이렇게 말한 뒤에 선서(善逝)인 스승은 다시 이렇게 말했다. ―
“khattiyaṃ jātisampannaṃ, abhijātaṃ yasassinaṃ.
daharoti nāvajāneyya, na naṃ paribhave naro.
“ṭhānañhi so manujindo, rajjaṃ laddhāna khattiyo.
so kuddho rājadaṇḍena, tasmiṃ pakkamate bhusaṃ.
tasmā taṃ parivajjeyya, rakkhaṃ jīvitamattano.
“gāme vā yadi vā raññe, yattha passe bhujaṅgamaṃ.
daharoti nāvajāneyya, na naṃ paribhave naro.
“uccāvacehi vaṇṇehi, urago carati tejasī.
so āsajja ḍaṃse bālaṃ, naraṃ nāriñca ekadā.
tasmā taṃ parivajjeyya, rakkhaṃ jīvitamattano.
“pahūtabhakkhaṃ jālinaṃ, pāvakaṃ kaṇhavattaniṃ.
daharoti nāvajāneyya, na naṃ paribhave naro.
“laddhā hi so upādānaṃ, mahā hutvāna pāvako.
so āsajja ḍahe bālaṃ, naraṃ nāriñca ekadā.
tasmā taṃ parivajjeyya, rakkhaṃ jīvitamattano.
“vanaṃ yadaggi ḍahati, pāvako kaṇhavattanī.
jāyanti tattha pārohā, ahorattānamaccaye.
“yañca kho sīlasampanno, bhikkhu ḍahati tejasā.
na tassa puttā pasavo, dāyādā vindare dhanaṃ.
anapaccā adāyādā, tālāvatthū bhavanti te.
“tasmā hi paṇḍito poso, sampassaṃ atthamattano.
bhujaṅgamaṃ pāvakañca, khattiyañca yasassinaṃ.
bhikkhuñca sīlasampannaṃ, sammadeva samācare”ti.
“고귀한 태생이고 명성을 지녔고 태생이 분명한 끄샤뜨리야를
사람은 그를 ‘어린애’라고 경멸하지 않아야 하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끄샤뜨리야는 왕국을 얻은 뒤 사람들의 왕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의 분노가 왕의 형벌로 강하게 그에게 왔을 때
자기 목숨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를 피해야 합니다.”
“마을이나 숲에서 뱀을 보면
사람은 그를 ‘어린 뱀’이라고 경멸하지 않아야 하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맹독을 가진 뱀은 여러 모습으로 움직입니다.
남자건 여자건 어리석은 사람을 공격하여 단박 물어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기 목숨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를 피해야 합니다.”
“많은 것을 집어삼키고 검은 흔적 남기면서 타오르는 불을
‘어린 불’이라고 경멸하지 않아야 하고, 얕보지 않아야 합니다.
그것은 연료를 얻은 뒤에 큰불이 되어서
남자건 여자건 어리석은 사람을 공격하여 단박 태워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기 목숨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것을 피해야 합니다.”
“검은 흔적 남기면서 타오르는 불이 숲을 태운다 해도
밤낮들이 지났을 때는 그곳에서 새싹들이 태어납니다.
그렇지만 계를 갖춘 비구가 계행의 불로 태운 사람
그에게는 자식들도 가축들도 없고, 상속자들은 재물을 얻지 못할 것입니다.
자손들도 끊어지고 상속자들도 없어져서 그들은 야자수 등걸(팔미라 나무)처럼 됩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이익을 보는 현명한 사람은
뱀과 불과 명성 있는 끄샤뜨리야와 계를 갖춘 비구를 바르게 대해야 합니다.”
“정말 기쁩니다, 대덕이시여. 정말 기쁩니다, 대덕이시여! 예를 들면, 대덕이시여, 넘어진 자를 일으킬 것입니다. 덮여있는 것을 걷어낼 것입니다. 길 잃은 자에게 길을 알려줄 것입니다. ‘눈 있는 자들은 모습들을 본다.’라며 어둠 속에서 기름 등불을 들 것입니다. 이처럼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을 설하셨습니다. 대덕이시여, 이런 저는 의지처인 세존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세존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재가 신자로 받아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