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4.māra
1. tapokammasuttaṃ (SN 4.1-고행의 실천 경)
1. paṭhamavaggo, 1. tapokammasuttaṃ (SN 4.1-고행의 실천 경)
137.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uruvelāyaṃ viharati najjā nerañjarāya tīre ajapālanigrodhamūle paṭhamābhisambuddho. atha kho bhagavato rahogatassa paṭisallīnassa evaṃ cetaso parivitakko udapādi — “mutto vatamhi tāya dukkarakārikāya. sādhu mutto vatamhi tāya anatthasaṃhitāya dukkarakārikāya. sādhu vatamhi mutto bodhiṃ samajjhagan”ti.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바야흐로 깨달음을 성취한 세존은 우루웰라에서 네란자라 강변 아자빨라니그로다 나무 밑에 머물렀다. 그때 외딴곳에 홀로 머무는 세존에게 이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이 떠올랐다. ― “참으로 나는 그 행하기 힘든 일에서 벗어났다. 내가 이익으로 이끌지 않는 그 행하기 힘든 일에서 벗어난 것은 잘한 일이다. 참으로 내가 벗어나서 깨달음을 얻은 것은 좋은 일이다.”라고.
atha kho māro pāpimā bhagavato cetasā cetoparivitakkamaññāya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그때 마라 빠삐만뜨가 세존의 심(心)에서 떠오른 심(心)의 온전한 생각을 알고서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tapokammā apakkamma, yena na sujjhanti māṇavā.
asuddho maññasi suddho, suddhimaggā aparaddho”ti.
asuddho maññasi suddho, suddhimaggā aparaddho”ti.
고행(苦行)의 실천에서 떠난 뒤에 그대는 청정하지 않으면서 청정하다고 생각한다.
청정의 길을 놓쳤다. 젊은이들은 그것으로 인해 청정해지지 않는다.
atha kho bhagavā “māro ayaṃ pāpimā” iti viditvā māraṃ pāpimantaṃ gāthāhi ajjhabhāsi —
그때 세존은 “이 자는 마라 빠삐만뜨다.”라고 알고서 마라 빠삐만뜨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anatthasaṃhitaṃ ñatvā, yaṃ kiñci amaraṃ tapaṃ.
sabbaṃ natthāvahaṃ hoti, phiyārittaṃva dhammani.
sabbaṃ natthāvahaṃ hoti, phiyārittaṃva dhammani.
불사(不死)를 위한 고행(苦行)은 어떤 것이든 모두, 숲의 마른 땅 위에 있는 노와 키처럼 이익을 가져오지 않는다. 이익으로 이끌지 못한다고 안 뒤에
“sīlaṃ samādhi paññañca, maggaṃ bodhāya bhāvayaṃ.
pattosmi paramaṃ suddhiṃ, nihato tvamasi antakā”ti.
pattosmi paramaṃ suddhiṃ, nihato tvamasi antakā”ti.
깨달음을 위해 계(戒)와 정(定)과 혜(慧)의 길을 닦는 나는
궁극의 청정에 도달했다. 죽음의 신이여, 그대는 파괴되었다.
atha kho māro pāpimā “jānāti maṃ bhagavā, jānāti maṃ sugato”ti, dukkhī dummano tatthevantaradhāyīti.
그러자 마라 빠삐만뜨는 “세존이 나를 알았다. 선서가 나를 알았다.”라고 괴로워하고 슬퍼하면서 거기에서 사라졌다.
Comments
보인
2024.05.24 06:57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