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4.māra > paṭhama
7. supatisuttaṃ (SN 4.7-잠 경)
1. paṭhamavaggo, 7. supatisuttaṃ (SN 4.7-잠 경)
143. ekaṃ samayaṃ bhagavā rājagahe viharati veḷuvane kalandakanivāpe. atha kho bhagavā bahudevarattiṃ abbhokāse caṅkamitvā rattiyā paccūsasamayaṃ pāde pakkhāletvā vihāraṃ pavisitvā dakkhiṇena passena sīhaseyyaṃ kappesi pāde pādaṃ accādhāya sato sampajāno uṭṭhānasaññaṃ manasi karitvā. atha kho māro pāpim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한때 세존은 라자가하에서 웰루와나의 다람쥐 기르는 곳에 머물렀다. 그때 세존은 밤의 대부분을 열린 장소에서 경행 한 뒤에 밤이 지나고 이른 새벽에 발을 씻고서 거처로 들어가 발에 발을 포개고 사띠-삼빠자나 하면서 일어남의 상(想)을 작의하고서 오른쪽으로 사자처럼 누웠다. 그때 마라 빠삐만뜨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kiṃ soppasi kiṃ nu soppasi,
kimidaṃ soppasi dubbhago viya.
suññamagāranti soppasi,
kimidaṃ soppasi sūriye uggate”ti.
kimidaṃ soppasi dubbhago viya.
suññamagāranti soppasi,
kimidaṃ soppasi sūriye uggate”ti.
어떻게 그대는 잠을 자는가? 참으로 어떻게 그대는 잠을 자는가?
불운을 겪은 사람처럼 어떻게 그대는 이렇게 잠을 자는가?
‘빈집이다.’라며 그대는 잠을 자는가?
태양이 떠오른 때에 어떻게 그대는 이렇게 잠을 자는가?
“yassa jālinī visattikā,
taṇhā natthi kuhiñci netave.
sabbūpadhiparikkhayā buddho,
soppati kiṃ tavettha mārā”ti.
taṇhā natthi kuhiñci netave.
sabbūpadhiparikkhayā buddho,
soppati kiṃ tavettha mārā”ti.
모든 재생의 조건을 완전히 부쉈기 때문에 불(佛)이다.
그에게 어디로든 이끄는 것인 갈망과 달라붙음과 애(愛)가 없다.
그가 잠잔다. 마라여, 여기서 그대가 무슨 말을 할 것인가!
atha kho māro pāpimā ... pe ... tatthevantaradhāyīti.
그러자 마라 빠삐만뜨는 “세존이 나를 알았다. 선서가 나를 알았다.”라고 괴로워하고 슬퍼하면서 거기에서 사라졌다.
Comments
보인
2024.06.10 07:3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