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4.māra
1. pāsāṇasuttaṃ (SN 4.11-바위 경)
2. dutiyavaggo, 1. pāsāṇasuttaṃ (SN 4.11-바위 경)
147. ekaṃ samayaṃ bhagavā rājagahe viharati gijjhakūṭe pabbate. tena kho pana samayena bhagavā rattandhakāratimisāyaṃ abbhokāse nisinno hoti, devo ca ekamekaṃ phusāyati. atha kho māro pāpimā bhagavato bhayaṃ chambhitattaṃ lomahaṃsaṃ uppādetukām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to avidūre mahante pāsāṇe padālesi.
한때 세존은 라자가하에서 독수리봉 산에 머물렀다. 그때 세존은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열린 장소에 앉아있었는데, 비도 한 방울씩 떨어지고 있었다. 그때 마라 빠삐만뜨가 세존에게 두려움과 놀라움과 소름이 돋게 하려고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의 멀지 않은 곳에서 큰 바위들을 부쉈다.
atha kho bhagavā “māro ayaṃ pāpimā” iti viditvā māraṃ pāpim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그러자 세존은 “이 자는 마라 빠삐만뜨이다.”라고 알고서 마라 빠삐만뜨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sacepi kevalaṃ sabbaṃ, gijjhakūṭaṃ calessasi.
neva sammāvimuttānaṃ, buddhānaṃ atthi iñjitan”ti.
neva sammāvimuttānaṃ, buddhānaṃ atthi iñjitan”ti.
“만약 그대가 독수리봉 전부를 완전히 흔든다 해도
바르게 해탈한 부처들에게 동요는 없다.”라고.
(*) iñjita
1) (KN 2.18-더러움 품)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3_05&wr_id=3
2) (MN 66-메추라기 비유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7_06&wr_id=7
3) (SN 35.248-보릿단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1&wr_id=8
atha kho māro pāpimā “jānāti maṃ bhagavā, jānāti maṃ sugato”ti dukkhī dummano tatthevantaradhāyīti.
그러자 마라 빠삐만뜨는 “세존이 나를 알았다. 선서가 나를 알았다.”라고 괴로워하고 슬퍼하면서 거기에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