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4.māra
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4.16-발우 경)[탐-들뜸-자기화의 해소 = 심해탈 & 무명-존재화의 해소 = 혜해탈](근본…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 (SN 4.16-발우 경)[탐-들뜸-자기화의 해소 = 심해탈 & 무명-존재화의 해소 = 혜해탈](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40709)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OcCoEU3tTa0
(SN 4.16-발우 경)에서 부처님은 오온에 대해 ‘이것은 내가 아니고, 나의 것이 아니다.’라고 이탐(離貪) 한다고 말합니다. 이탐을 나-나의 것 즉 자기화의 해소의 관점에서 말하는 것인데, 나를 만들고 나의 것을 만드는 자기화가 탐(貪) 즉 들뜸의 족쇄 위에서 진행되는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어서 이렇게 이탐하고, 안온하고, 모든 족쇄를 극복한 자라고 아라한을 서술하는데, 들뜸의 족쇄 이전에 작용하는 무명(無明)의 족쇄마저 극복한 경지입니다.
그래서 탐(貪)-들뜸과 자기화 그리고 무명과 존재화의 대응을 알 수 있는데, 자기화의 해소는 심해탈(心解脫)이고[사마타], 존재화의 해소는 혜해탈(慧解脫)[위빳사나]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Comments
대원행
2024.07.20 22:29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90 참조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 4-(131-135)[사람 품1) 태어남-존재의 족쇄, 공부 능력, 노력과 업의 결실, 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