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4.māra
8. piṇḍasuttaṃ (SN 4.18-탁발 음식 경)
2. dutiyavaggo, 8. piṇḍasuttaṃ (SN 4.18-탁발 음식 경)
154. ekaṃ samayaṃ bhagavā magadhesu viharati pañcasālāyaṃ brāhmaṇagāme. tena kho pana samayena pañcasālāyaṃ brāhmaṇagāme kumārikānaṃ pāhunakāni bhavanti. atha kho bhagavā pubbaṇhasamayaṃ nivāsetvā pattacīvaramādāya pañcasālaṃ brāhmaṇagāmaṃ piṇḍāya pāvisi. tena kho pana samayena pañcasāleyyakā brāhmaṇagahapatikā mārena pāpimatā anvāviṭṭhā bhavanti — mā samaṇo gotamo piṇḍamalatthāti.
한때 세존은 마가다에서 빤짜살라의 바라문 마을에 머물렀다. 그때 빤짜살라의 바라문 마을에 처녀들이 손님을 위한 식사를 준비했다. 그때 세존은 오전에 옷차림을 바르게 하고 발우와 가사를 지닌 채 빤짜살라의 바라문 마을에 탁발을 위해 들어갔다. 그때 빤짜살라 바라문 장자들은 마라 빠삐만뜨에게 사로잡혀 있었다. ― ‘사문 고따마가 탁발 음식을 얻지 못하게 하라.’라고.
atha kho bhagavā yathādhotena pattena pañcasālaṃ brāhmaṇagāmaṃ piṇḍāya pāvisi tathādhotena pattena paṭikkami. atha kho māro pāpim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etadavoca — “api tvaṃ, samaṇa, piṇḍamalatthā”ti? “tathā nu tvaṃ, pāpima, akāsi yathāhaṃ piṇḍaṃ na labheyyan”ti. “tena hi, bhante, bhagavā dutiyampi pañcasālaṃ brāhmaṇagāmaṃ piṇḍāya pavisatu. tathāhaṃ karissāmi yathā bhagavā piṇḍaṃ lacchatī”ti.
그래서 세존은 빤짜살라의 바라문 마을에 탁발을 위해 가지고 들어간 그대로 씻은 발우를 가지고 돌아 나왔다. 그때 마라 빠삐만뜨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사문이여, 그대는 탁발 음식을 얻었는가?”라고. “빠삐만뜨여, 내가 탁발 음식을 얻지 못하도록 그대가 조치하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대덕이시여, 세존께서는 두 번째로 빤짜살라의 바라문 마을에 탁발 음식을 위해 들어가십시오. 세존께서 탁발 음식을 얻도록 제가 조치하겠습니다.”
“apuññaṃ pasavi māro, āsajja naṃ tathāgataṃ.
kiṃ nu maññasi pāpima, na me pāpaṃ vipaccati.
kiṃ nu maññasi pāpima, na me pāpaṃ vipaccati.
마라는 그분 여래를 모욕하면서 악덕을 쌓는다.
빠삐만뜨여, 나의 악은 익지 않는다고 생각하는가?
“susukhaṃ vata jīvāma, yesaṃ no natthi kiñcanaṃ.
pītibhakkhā bhavissāma, devā ābhassarā yathā”ti.
pītibhakkhā bhavissāma, devā ābhassarā yathā”ti.
우리에게 아무것도 없어도 참으로 우리는 아주 행복하게 산다.
광음천의 신들처럼, 우리는 희열을 음식으로 삼을 것이다.
atha kho māro pāpimā “jānāti maṃ bhagavā, jānāti maṃ sugato”ti dukkhī dummano tatthevantaradhāyīti.
그러자 마라 빠삐만뜨는 “세존이 나를 알았다. 선서가 나를 알았다.”라고 괴로워하고 슬퍼하면서 거기에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