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rahmāyācanasuttaṃ (SN 6.1-범천의 요청 경)
1. paṭhamavaggo, 1. brahmāyācanasuttaṃ (SN 6.1-범천의 요청 경)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바야흐로 깨달음을 성취한 세존은 우루웰라에서 네란자라 강변 아자빨라니그로다 나무 밑에 머물렀다. 그때 외딴곳에 홀로 머무는 세존에게 이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이 떠올랐다. — ‘내가 성취한 이 법은 심오하고, 보기 어렵고, 깨닫기 어렵고, 평화롭고, 숭고하고, takka[애(愛)의 형성 과정]의 영역을 넘어섰고, 독창적이고, 현자에게만 경험될 수 있다. 그러나 존재들은 잡기를 즐기고 잡기를 좋아하고 잡기를 기뻐한다. 잡기를 즐기고 잡기를 좋아하고 잡기를 기뻐하는 사람들은 이런 토대 즉 여기에서의 조건성인 연기(緣起)를 보기 어렵다. 또한, 이런 토대 즉 모든 행(行)을 그침이고, 모든 재생의 조건을 놓음이고, 애(愛)의 부서짐이고, 바램이고, 소멸인 열반(涅槃)을 보기 어렵다. 그러니 내가 이 법을 설한다 해도 저들이 알지 못한다면 그것은 나를 피곤하게 하고 나를 짜증 나게 할 것이다.’라고. 그때 세존에게 이전에 들어보지 못한 게송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
“kicchena me adhigataṃ, halaṃ dāni pakāsituṃ.
rāgadosaparetehi, nāyaṃ dhammo susambudho.
“paṭisotagāmiṃ nipuṇaṃ, gambhīraṃ duddasaṃ aṇuṃ.
rāgarattā na dakkhanti, tamokhandhena āvuṭā”ti.
“나에게 어렵게 얻어진 법을 설하는 것이 이제 필요할까?
탐(貪)과 진(嗔)에 시달리는 자들에게 이 법은 잘 깨달아지지 않는다.
흐름을 거스르고, 독창적이고, 심오하고, 보기 어렵고, 미세한 법을
어둠의 무더기에 덮이고 탐(貪)에 물든 자들은 보지 못한다.”라고.
(*) (MN 22-뱀의 비유 경)은 「tatra ce, bhikkhave, pare tathāgataṃ akkosanti paribhāsanti rosenti vihesenti, tatra, bhikkhave, tathāgatassa na hoti āghāto na appaccayo na cetaso anabhiraddhi 비구들이여, 거기서 다른 사람들이 여래를 욕하고 중상하고 자극하고 짜증 나게 한다 해도, 비구들이여, 거기서 여래는 싫어하지 않고, 못마땅해하지 않고, 심(心)에 불만이 없다.」라고 하는데, 오직 고(苦)와 고멸(苦滅)을 설하는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반응과 부처님의 대응입니다. 여기서 ‘나를 짜증 나게 할 것이다.’라는 표현의 의미라고 하겠습니다.
itiha bhagavato paṭisañcikkhato appossukkatāya cittaṃ namati, no dhammadesanāya.
이렇게 숙고하는 세존의 심(心)은 법을 설함이 아니라 주저함무관심으로 기울었다.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163참조(220922)
그때 세존의 심(心)으로부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을 안 뒤에 사함빠띠 범천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어떤 경우에도 여래-아라한-정등각의 심(心)이 법을 설함이 아니라 주저함무관심으로 기운다면 세상은 참으로 타락할 것이고, 세상은 참으로 파괴될 것이다.’라고. 그러자 사함빠띠 범천은 — 예를 들면 힘센 사람이 접은 팔을 펴거나 편 팔을 접을 것이다. 이렇게 — 범천의 세상에서 사라져 세존의 앞에 나타났다. 그때 사함빠띠 범천은 한쪽 어깨가 드러나게 윗 가사를 입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합장하여 세존에게 인사한 뒤에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대덕이시여, 세존께서는 법을 설하십시오. 선서께서는 법을 설하십시오. 태어날 때부터 더러움이 적은 중생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법을 듣지 않으면 쇠퇴할 것입니다. 법을 이해하는 자들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사함빠띠 범천은 이렇게 말했다. 이렇게 말하고 다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pāturahosi magadhesu pubbe,
dhammo asuddho samalehi cintito.
apāpuretaṃ amatassa dvāraṃ,
suṇantu dhammaṃ vimalenānubuddhaṃ.
“sele yathā pabbatamuddhaniṭṭhito,
yathāpi passe janataṃ samantato.
tathūpamaṃ dhammamayaṃ sumedha,
pāsādamāruyha samantacakkhu.
sokāvatiṇṇaṃ janatamapetasoko,
avekkhassu jātijarābhibhūtaṃ.
“uṭṭhehi vīra vijitasaṅgāma,
satthavāha anaṇa vicara loke.
desassu bhagavā dhammaṃ,
aññātāro bhavissantī”ti.
“예전에 마가다에 오염된 생각 때문에 청정하지 못한 법이 나타났지만, 그대들은 이제 때 없는 분이 깨달은 불사의 문을 여는 법을 들으십시오!
산봉우리에 준비된 바위 위에서 사방의 사람들을 보는 것처럼, 현자시여, 모든 것을 보는 분이시여, 그와 같이 법으로 만든 궁전에 올라 슬픔을 떠난 분께서는 슬픔에 빠져있고 태어남과 늙음에 압도된 저들을 살피십시오.
일어서십시오. 영웅이여, 승리자여, 대상(隊商)을 이끄는 분이여, 빚 없는 분이여, 세상으로 나아가십시오. 세존께서는 법을 설하십시오. 아는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자 세존은 범천의 요청을 알고서 중생에 대한 연민으로 부처의 눈[불안(佛眼)]으로 세상을 살펴보았다. 부처의 눈으로 세상을 살펴보던 세존은 더러움이 적은 자들, 더러움이 많은 자들, 기능이 예리한 자들, 기능이 둔한 자들, 기질이 좋은 자들, 기질이 나쁜 자들, 가르치기 쉬운 자들, 가르치기 어려운 자들, 저세상의 결함에 대해 두려움을 보며 지내는 어떤 자들, 저세상의 결함에 대해 두려움을 보지 않고 지내는 어떤 자들 등 중생들을 보았다. 예를 들면,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이 있다. 어떤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은 물속에서 생겨나 물속에서 성장하고 물에 잠겨 그 속에서만 자란다. 어떤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은 물속에서 생겨나 물속에서 성장하고 물에 잠겨 물의 바깥 면에 선다. 어떤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은 물속에서 생겨나 물속에서 성장하여 물 위로 올라와 서서 물에 의해 얼룩지지 않는다. 부처의 눈으로 세상을 살펴보던 세존은 더러움이 적은 자들, 더러움이 많은 자들, 기능이 예리한 자들, 기능이 둔한 자들, 기질이 좋은 자들, 기질이 나쁜 자들, 가르치기 쉬운 자들, 가르치기 어려운 자들, 저세상의 결함에 대해 두려움을 보며 지내는 어떤 자들, 저세상의 결함에 대해 두려움을 보지 않고 지내는 어떤 자들 등 중생들을 보았다. 그때 세존은 사함빠띠 범천에게 게송으로 대답했다. —
“apārutā tesaṃ amatassa dvārā,
ye sotavanto pamuñcantu saddhaṃ.
vihiṃsasaññī paguṇaṃ na bhāsiṃ,
dhammaṃ paṇītaṃ manujesu brahme”ti.
그들에게 불사(不死)의 문은 열렸다. 귀를 가진 자들은 믿음을 버려라.
범천이여, 연민의 상(想)을 일으키지 않았던 나는 사람들에게 잘 실천되고 뛰어난 법을 말하지 않았다.
※ vihiṃsasaññī — ‘폭력의 상(想)을 가진 자’의 단수/주격 → 주어
bhāsiṃ — bhāsi[said; spoke; shone. (aor. of bhāti)]의 1인칭 단수
→ ‘나는 말했다.’ → na bhāsiṃ — ‘나는 말하지 않았다.’
; 문법적으로 「‘폭력의 상(想)을 가진 자’인 ‘나’는 말하지 않았다.」가 됩니다. ‘믿음을 버려라’에서 명령형을 사용한 것이 현재 상황인 데 비해 ‘말하지 않았다’라는 과거 시제로 설해졌습니다. 삿된 믿음을 버리라고 명령하는 지금 시점 이전에는 그렇게 말할 수 없는 상황 즉 (깨닫지 못한 상황 또는) 대중에게로 나아가려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은 상황이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텐데, 그 상황을 ‘폭력의 상(想)을 가진 자’로 대표하여 나타내었다고 이해하였습니다.
그런데 폭력으로 번역되는 vihiṃsā는
비(悲-karuṇā)의 반대 개념입니다. 그렇다면 비(悲)가 연민[그대가 아프지 않기를!]이기 때문에 vihiṃsā는 연민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vihiṃsasaññī를 ‘연민하지 않는 상(想)을 가진 자’라고 번역하였습니다. 깨달음을 성취한 후 아직 대중을 위한 연민의 마음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함빠띠 범천의 청을 받아 비로소 중생들을 위한 연민의 마음을 일으켜 법을 설하게 되는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연민하지 않는(폭력의) 상(想)을 버리고 중생들에 대한 연민의 길을 나서지 않았다면 벽지불(辟支佛)이 되었지 여래(如來)-아라한(阿羅漢)-정등각(正等覺)이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자 사함빠띠 범천은 '나는 세존에 의해 법이 설해지도록 기회를 만들었다.'라며 세존에게 절하고 오른쪽으로 돈 뒤 그곳에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