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gāravasuttaṃ (SN 6.2-존중 경)
1. paṭhamavaggo, 2. gāravasuttaṃ (SN 6.2-존중 경)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바야흐로 깨달음을 성취한 세존은 우루웰라에서 네란자라 강변 아자빨라니그로다 나무 밑에 머물렀다. 그때 외딴곳에 홀로 머무는 세존에게 이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이 떠올랐다. ― “존중하지 않고 순응하지 않는 자는 괴롭게 머문다. 참으로 나는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며 머물러야 하는가?”라고.
그때 세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계(戒)의 무더기[계온(戒蘊)]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 그것의 완성을 위해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인간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나보다 계(戒)를 더 잘 갖춘, 내가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보지 못한다.
삼매의 무더기[정온(定蘊)]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 그것의 완성을 위해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인간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나보다 삼매를 더 잘 갖춘, 내가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 다른 바문이나 바라문을 보지 못한다.
지혜의 무더기[혜온(蘊)]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 그것의 완성을 위해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인간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나보다 지혜를 더 잘 갖춘, 내가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 다른 바문이나 바라문을 보지 못한다.
해탈의 무더기[해탈온(解脫蘊)]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 그것의 완성을 위해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인간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나보다 해탈을 더 잘 갖춘, 내가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보지 못한다.
해탈지견의 무더기[해탈지견온(解脫知見蘊)]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 그것의 완성을 위해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인간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나보다 해탈지견을 더 잘 갖춘, 내가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 다른 바문이나 바라문을 보지 못한다. 나는 내가 깨달은 법(法)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러야겠다.”라고.
그때 세존의 심(心)으로부터 심(心)의 온전한 생각을 안 뒤에 사함빠띠 사함빠띠 범천은 — 예를 들면 힘센 사람이 접은 팔을 펴거나 편 팔을 접을 것이다. 이렇게 — 범천의 세상에서 사라져 세존의 앞에 나타났다. 그때 사함빠띠 범천은 한쪽 어깨가 드러나게 윗 가사를 입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합장하여 세존에게 인사한 뒤에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렇습니다, 선서시여! 과거에 있었던 아라한–정등각인 그분 세존들께서도 오직 법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렀습니다. 미래에 있을 아라한–정등각인 그분 세존들께서도 오직 법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물 것입니다. 대덕이시여, 현재의 아라한-정등각이신 세존께서도 오직 법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무십시오.”라고. 사함빠띠 범천은 이렇게 말했다. 이렇게 말한 뒤에 다시 이렇게 말했다. ―
“ye ca atītā sambuddhā, ye ca buddhā anāgatā.
yo cetarahi sambuddho, bahūnaṃ sokanāsano.
과거의 부처님들도 미래의 부처님들도
현재의 부처님도 많은 사람의 슬픔을 없애주십니다.
“sabbe saddhammagaruno, vihaṃsu viharanti ca.
tathāpi viharissanti, esā buddhāna dhammatā.
모두 바른 법을 존중하며 머물렀고, 머물고,
그렇게 머물 것입니다. 이것이 부처님들의 법의 성품입니다.
“tasmā hi attakāmena, mahattamabhikaṅkhatā.
saddhammo garukātabbo, saraṃ buddhāna sāsanan”ti.
그러므로 참으로 자신을 즐거워하면서 위대함을 지향하는 자는
부처님들의 가르침을 기억하면서, 정법을 존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