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7.brāhmaṇa > upāsaka
9. mātuposakasuttaṃ (SN 7.19-어머니 봉양 경)
2. upāsakavaggo 9. mātuposakasuttaṃ (SN 7.19-어머니 봉양 경)
sāvatthinidānaṃ. atha kho mātuposako brāhmaṇ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tā saddhiṃ sammodi.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mātuposako brāhmaṇo bhagavantaṃ etadavoca — “ahañhi, bho gotama, dhammena bhikkhaṃ pariyesāmi, dhammena bhikkhaṃ pariyesitvā mātāpitaro posemi. kaccāhaṃ, bho gotama, evaṃkārī kiccakārī homī”ti? “taggha tvaṃ, brāhmaṇa, evaṃkārī kiccakārī hosi. yo kho, brāhmaṇa, dhammena bhikkhaṃ pariyesati, dhammena bhikkhaṃ pariyesitvā mātāpitaro poseti, bahuṃ so puññaṃ pasavatī”ti.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어머니를 봉양하는 바라문이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과 함께 인사를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 만한 이야기를 주고받은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어머니를 봉양하는 바라문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고따마 존자여, 저는 법답게 음식을 구합니다. 법답게 음식을 구한 뒤 부모를 봉양합니다. 고따마 존자여, 이렇게 행하는 저는 해야 할 바를 하는 것입니까?” “분명히, 바라문이여, 이렇게 행하는 그대는 해야 할 바를 하는 것입니다. 법답게 음식을 구하고, 법답게 음식을 구한 뒤 부모를 봉양하는 그는 많은 공덕(功德)[복(福)]을 쌓습니다.
“yo mātaraṃ pitaraṃ vā, macco dhammena posati.
tāya naṃ pāricariyāya, mātāpitūsu paṇḍitā.
idheva naṃ pasaṃsanti, pecca sagge pamodatī””ti.
tāya naṃ pāricariyāya, mātāpitūsu paṇḍitā.
idheva naṃ pasaṃsanti, pecca sagge pamodatī””ti.
부모님을 공경하는 것과 관련해서
어머니와 아버지를 법답게 봉양하는 사람을
여기서는 현자들이 그를 칭찬하고, 죽은 뒤에 그는 하늘에서 기뻐한다.”
evaṃ vutte, mātuposako brāhmaṇo bhagavantaṃ etadavoca — “abhikkantaṃ bho gotama, abhikkantaṃ, bho gotama ... pe ...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이렇게 말했을 때, 어머니를 봉양하는 바라문이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남신자로 받아 주십시오.”
Comments
대원행
2022.04.25 22:03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7&page=2 참조 (불교의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