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mānatthaddhasuttaṃ (SN 7.15-마낫탇다 경)
2. upāsakavaggo, 5. mānatthaddhasuttaṃ (SN 7.15-마낫탇다 경)
201. sāvatthinidānaṃ. tena kho pana samayena mānatthaddho nāma brāhmaṇo sāvatthiyaṃ paṭivasati. so neva mātaraṃ abhivādeti, na pitaraṃ abhivādeti, na ācariyaṃ abhivādeti, na jeṭṭhabhātaraṃ abhivādeti. tena kho pana samayena bhagavā mahatiyā parisāya parivuto dhammaṃ deseti. atha kho mānatthaddhassa brāhmaṇassa etadahosi — “ayaṃ kho samaṇo gotamo mahatiyā parisāya parivuto dhammaṃ deseti. yaṃnūnāhaṃ yena samaṇo gotamo tenupasaṅkameyyaṃ. sace maṃ samaṇo gotamo ālapissati, ahampi taṃ ālapissāmi. no ce maṃ samaṇo gotamo ālapissati, ahampi nālapissāmī”ti. atha kho mānatthaddho brāhmaṇ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tuṇhībhūto ekamantaṃ aṭṭhāsi. atha kho bhagavā taṃ nālapi. atha kho mānatthaddho brāhmaṇo — ‘nāyaṃ samaṇo gotamo kiñci jānātī’ti tatova puna nivattitukāmo ahosi. atha kho bhagavā mānatthaddhassa brāhmaṇassa cetasā cetoparivitakkamaññāya mānatthaddhaṃ brāhmaṇaṃ gāthāya ajjhabhāsi —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마낫탇다라는 바라문이 사왓티에 살았다. 그는 어머니에게도 절하지 않고, 아버지에게도 절하지 않고, 스승에게도 절하지 않았다. 그때 세존이 큰 모임에 둘러싸여 법을 설했다. 그러자 마낫탇다 바라문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이 사문 고따마는 큰 모임에 둘러싸여 법을 설한다. 내가 사문 고따마에게 가야겠다. 만약 사문 고따마가 나에게 말을 걸면 나도 그에게 말을 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사문 고따마가 나에게 말을 걸지 않으면 나도 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마낫탇다 바라문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침묵하며 한 곁에 서 있었다. 세존은 그에게 말을 걸지 않았다. 그러자 마낫탇다 바라문은 ‘이 사문 고따마는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라며 거기에서 돌아가려고 생각했다. 그러자 세존은 마낫탇다 바라문의 심(心)으로부터 심의 온전한 생각을 알고서 마낫탇다 바라문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na mānaṃ brāhmaṇa sādhu, atthikassīdha brāhmaṇa.
yena atthena āgacchi, tamevamanubrūhaye”ti.
“바라문이여, 이 세상에서 이익을 바라는 자에게 자기화는 좋은 것이 아니다.
바라문이여, 어떤 이익을 구하여 왔는지 그것을 말해보라.”라고.
atha kho mānatthaddho brāhmaṇo — “cittaṃ me samaṇo gotamo jānātī”ti tattheva bhagavato pādesu sirasā nipatitvā bhagavato pādāni mukhena ca paricumbati pāṇīhi ca parisambāhati, nāmañca sāveti — “mānatthaddhāhaṃ, bho gotama, mānatthaddhāhaṃ, bho gotamā”ti. atha kho sā parisā abbhutacittajātā ahosi — ‘acchariyaṃ vata bho, abbhutaṃ vata bho! ayañhi mānatthaddho brāhmaṇo neva mātaraṃ abhivādeti, na pitaraṃ abhivādeti, na ācariyaṃ abhivādeti, na jeṭṭhabhātaraṃ abhivādeti; atha ca pana samaṇe gotame evarūpaṃ paramanipaccakāraṃ karotī’ti. atha kho bhagavā mānatthaddhaṃ brāhmaṇaṃ etadavoca — “alaṃ, brāhmaṇa, uṭṭhehi, sake āsane nisīda. yato te mayi cittaṃ pasannan”ti. atha kho mānatthaddho brāhmaṇo sake āsane nisīditvā bhagavantaṃ gāthāya ajjhabhāsi —
그러자 마낫탇다 바라문은 “사문 고따마는 나의 심(心)을 안다.”라며 거기서 세존의 발에 머리 숙여 절한 뒤 세존의 발에 입을 맞추고 손으로 어루만지면서 이름을 알렸다. ― “고따마 존자시여, 저는 마낫탇다입니다. 대덕이시여, 저는 마낫탇다입니다.”라고. 그러자 그 모임의 사람들에게 신기한 심(心)이 일어났다. ― “참으로 놀랍습니다, 존자여. 참으로 신기합니다, 존자여. 이 마낫탇다 바라문은 어머니에게도 절하지 않고, 아버지에게도 절하지 않고, 스승에게도 절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사문 고따마에게 이런 최상의 존경을 표합니다.”라고. 그때 세존은 마낫탇다 바라문에게 이렇게 말했다. ― “되었다, 바라문이여. 일어나라. 그대의 자리에 앉아라. 어디에서든 나에 대한 그대의 심(心)은 분명하다.” 마낫탇다 바라문은 자기 자리에 앉아서 세존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
“kesu na mānaṃ kayirātha, kesu cassa sagāravo.
kyassa apacitā assu, kyassu sādhu supūjitā”ti.
“누구에게 자기화를 일으키지 않아야 합니까? 누구에게 존중을 표해야 합니까?
누구를 존경해야 하고, 누구에게 최선으로 예배해야 합니까?”라고.
“mātari pitari cāpi, atho jeṭṭhamhi bhātari.
ācariye catutthamhi,
tesu na mānaṃ kayirātha.
tesu assa sagāravo,
tyassa apacitā assu.
tyassu sādhu supūjitā.
“어머니와 아버지와 큰형님에 대해서, 네 번째로 스승에 대해
그들에게 자기화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그들에 대해 존중을 표해야 하고
그들을 존경해야 하고
그들에게 최선으로 예배해야 한다.”
“arahante sītībhūte, katakicce anāsave.
nihacca mānaṃ athaddho, te namasse anuttare”ti.
해야 할 일을 하고, 번뇌 없는, 불이 꺼져 식은 아라한
자기화가 부서져 자만이 없는 사람은 위없는 그들을 공경해야 한다.“
evaṃ vutte, mānatthaddho brāhmaṇo bhagavantaṃ etadavoca — “abhikkantaṃ, bho gotama ... pe ...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이렇게 말했을 때, 마낫탇다 바라문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예를 들면, 고따마 존자시여, 넘어진 자를 일으킬 것입니다. 덮여있는 것을 걷어낼 것입니다. 길 잃은 자에게 길을 알려줄 것입니다. ‘눈 있는 자들은 모습들을 본다.’라며 어둠 속에서 기름 등불을 들 것입니다. 이처럼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런 저는 의지처인 고따마 존자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재가 신자로 받아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