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7.brāhmaṇa
6. paccanīkasuttaṃ (SN 7.16-빳짜니까 경)
2. upāsakavaggo, 6. paccanīkasuttaṃ (SN 7.16-빳짜니까 경)
202. sāvatthinidānaṃ. tena kho pana samayena paccanīkasāto nāma brāhmaṇo sāvatthiyaṃ paṭivasati. atha kho paccanīkasātassa brāhmaṇassa etadahosi — “yaṃnūnāhaṃ yena samaṇo gotamo tenupasaṅkameyyaṃ. yaṃ yadeva samaṇo gotamo bhāsissati taṃ tadevassāhaṃ paccanīkāssan”ti. tena kho pana samayena bhagavā abbhokāse caṅkamati. atha kho paccanīkasāto brāhmaṇ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caṅkamantaṃ etadavoca — ‘bhaṇa samaṇadhamman’ti.
사왓티에서 설해짐. 그때 빳짜니까사따라는 바라문이 사왓티에 살고 있었다. 그런데 빳짜니까사따 바라문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내가 사문 고따마에게 가봐야겠다. 그래서 사문 고따마가 말하는 만큼을 내가 반박해야겠다.”라고. 그때 세존은 열린 장소에서 거닐고 있었다. 빳짜니까사따 바라문이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거닐고 있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사문이여, 법에 대해 말해보시오.”라고.
“na paccanīkasātena, suvijānaṃ subhāsitaṃ.
upakkiliṭṭhacittena, sārambhabahulena ca.
upakkiliṭṭhacittena, sārambhabahulena ca.
“오염된 심(心)으로, 자주 성내고, 반박을 통해 만족해하면서
잘 말해진 것을 잘 알 수 없습니다.
“yo ca vineyya sārambhaṃ, appasādañca cetaso.
āghātaṃ paṭinissajja, sa ve jaññā subhāsitan”ti.
āghātaṃ paṭinissajja, sa ve jaññā subhāsitan”ti.
성냄과 심(心)의 불신을 제어한 자
속 타게 하는 것을 놓은 뒤에 참으로 그가 잘 말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vaṃ vutte, paccanīkasāto brāhmaṇo bhagavantaṃ etadavoca — “abhikkantaṃ, bho gotama, abhikkantaṃ, bho gotama ... pe ...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이렇게 말했을 때, 빳짜니까사따 바라문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예를 들면, 고따마 존자시여, 넘어진 자를 일으킬 것입니다. 덮여있는 것을 걷어낼 것입니다. 길 잃은 자에게 길을 알려줄 것입니다. ‘눈 있는 자들은 모습들을 본다.’라며 어둠 속에서 기름 등불을 들 것입니다. 이처럼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런 저는 의지처인 고따마 존자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재가 신자로 받아 주십시오.”
Comments
보인
07:0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