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7.brāhmaṇa
10. bhikkhakasuttaṃ (SN 7.20-빅카까 경)
2. upāsakavaggo, 10. bhikkhakasuttaṃ (SN 7.20-빅카까 경)
206. sāvatthinidānaṃ. atha kho bhikkhako brāhmaṇ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tā saddhiṃ sammodi.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bhikkhako brāhmaṇo bhagavantaṃ etadavoca — “ahampi kho, bho gotama, bhikkhako, bhavampi bhikkhako, idha no kiṃ nānākaraṇan”ti?
사왓티에서 설해짐. 빅카까 바라문이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과 함께 인사를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 만한 이야기를 주고받은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빅카까 바라문이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고따마 존자여, 나도 빅카까(걸식자-얻어먹는 사람)이고, 존자도 빅카까입니다. 여기에서 우리에게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라고.
“na tena bhikkhako hoti, yāvatā bhikkhate pare.
vissaṃ dhammaṃ samādāya, bhikkhu hoti na tāvatā.
vissaṃ dhammaṃ samādāya, bhikkhu hoti na tāvatā.
“그것 때문에 걸식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나쁜 냄새가 나는 법을 수용한다면
남에게 얻어먹는 것만으로 비구는 아닙니다.
“yodha puññañca pāpañca, bāhitvā brahmacariyaṃ.
saṅkhāya loke carati, sa ve bhikkhūti vuccatī”ti.
saṅkhāya loke carati, sa ve bhikkhūti vuccatī”ti.
이 세상에서 공덕과 악덕에서 벗어나 범행을 실천하는 사람
세상에서 헤아리면서 행하는 그가 참으로 비구라고 불립니다.”라고.
evaṃ vutte, bhikkhako brāhmaṇo bhagavantaṃ etadavoca — “abhikkantaṃ, bho gotama, abhikkantaṃ, bho gotama ... pe ...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이렇게 말했을 때, 빅카까 바라문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정말 기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예를 들면, 고따마 존자시여, 넘어진 자를 일으킬 것입니다. 덮여있는 것을 걷어낼 것입니다. 길 잃은 자에게 길을 알려줄 것입니다. ‘눈 있는 자들은 모습들을 본다.’라며 어둠 속에서 기름 등불을 들 것입니다. 이처럼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을 설하셨습니다. 이런 저는 의지처인 고따마 존자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재가 신자로 받아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