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sūcilomasuttaṃ (SN 10.3-수찔로마 경)
10. yakkhasaṃyuttaṃ, 3. sūcilomasuttaṃ (SN 10.3-수찔로마 경)
한때 세존은 가야에서 땅끼따만짜의 수찔로마 약카의 처소에 머물렀다. 그런데 그때 카라 약카와 수찔로마 약카가 세존에게서 멀지 않은 곳을 지나갔다. 그리고 카로 약카가 수찔로마 약카에게 “이 사람은 사문이다.”라고 말했다. “그가 사문인지 아닌지 또는 거짓 사문인지 아닌지 내가 알 때까지 이 사람은 사문이 아니다. 이 사람은 거짓 사문이다.”
그리고 수찔롬 약카는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몸을 가까이했다. 그러자 세존은 몸을 멀리했다. 그러자 수찔로마 약카가 세존에게 “사문은 나를 두려워하는가?”라고 말했다. “도반이여, 나는 그대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다만, 그대의 접촉은 나쁘다.”라고. “사문이여, 그대에게 질문하겠소. 만약 나에게 설명하지 못하면 그대의 심(心)을 뒤집어 버리거나, 그대의 심장을 찢어버리거나, 발을 잡고서 강가 강 너머로 던져버릴 것이다.” “도반이여,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사람을 포함한 존재 가운데 나의 심(心)을 뒤집어 버리거나, 심장을 찢어버리거나, 발을 잡고서 강가 강 너머로 던져버릴 수 있는 자를 나는 보지 못한다. 그러나 도반이여, 원하는 것이 있다면 그대는 질문하라.” 그러자 수찔로마 약카는 세존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ㅡ
“rāgo ca doso ca kutonidānā,
aratī ratī lomahaṃso kutojā.
kuto samuṭṭhāya manovitakkā,
kumārakā dhaṅkamivossajantī”ti.
탐(貪)과 진(嗔)은 어디가 인연입니까?
불쾌와 유쾌와 소름은 어디에서 생깁니까?
어디에서 생겨날 때 의(意)의 위딱까는
아이들이 까마귀를 놓아주는 것처럼 제멋대로 날아갑니까?
“rāgo ca doso ca itonidānā,
aratī ratī lomahaṃso itojā.
ito samuṭṭhāya manovitakkā,
kumārakā dhaṅkamivossajanti.
탐(貪)과 진(嗔)은 여기가 인연이다.
불쾌와 유쾌와 소름은 여기에서 생긴다.
여기에서 생겨날 때 의(意)의 위딱까는
아이들이 까마귀를 놓아주는 것처럼 제멋대로 날아간다.
“snehajā attasambhūtā, nigrodhasseva khandhajā.
puthū visattā kāmesu, māluvāva vitatā vane.
애정에서 생긴 것, 자신에게서 생긴 것, 니그로다 나무의 몸통에서 생긴 것
소유의 삶에 대한 집착들은, 말루와 넝쿨이 숲에서 퍼져나가는 것처럼, 널리 퍼진다.
“ye naṃ pajānanti yatonidānaṃ,
te naṃ vinodenti suṇohi yakkha.
te duttaraṃ oghamimaṃ taranti,
atiṇṇapubbaṃ apunabbhavāyā”ti.
어디로부터의 인연인지 꿰뚫어 아는 사람들은
그것을 떨쳐버린다. 약카여, 들으라.
그들은 다시 존재가 되지 않기 위해
이전에 건너지 못한, 건너기 힘든 이 폭류를 건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