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12.nidāna
7. natumhasuttaṃ (SN 12.37-그대들의 것이 아님 경)
4. kaḷārakhattiyavaggo, 7. natumhasuttaṃ (SN 12.37-그대들의 것이 아님 경)
37.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nāyaṃ, bhikkhave, kāyo tumhākaṃ napi aññesaṃ. purāṇamidaṃ, bhikkhave, kammaṃ abhisaṅkhataṃ abhisañcetayitaṃ vedaniyaṃ daṭṭhabbaṃ”.
사왓티에 머물다. … “비구들이여, 이 몸은 그대들의 것도 아니고 다른 사람들의 것도 아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은 이전의 업(業)이고, 형성된 것, 의도된 것, 경험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tatra kho,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paṭiccasamuppādaññeva sādhukaṃ yoniso manasi karoti — ‘iti imasmiṃ sati idaṃ hoti, imassuppādā idaṃ uppajjati; imasmiṃ asati idaṃ na hoti, imassa nirodhā idaṃ nirujjhati, yadidaṃ — avijjāpaccayā saṅkhārā; saṅkhārapaccayā viññāṇaṃ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avijjāya tveva asesavirāganirodhā saṅkhāranirodho; saṅkhāranirodhā viññāṇanirodho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sattamaṃ.
비구들이여, 거기서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연기(緣起)를 철저히 여리(如理)하게 사고(思考)한다. ㅡ ‘이렇게 이것이 있을 때 이것이 있다. 이것의 생김으로부터 이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을 때 이것이 없다. 이것의 소멸로부터 이것이 소멸한다. 즉 ㅡ 무명(無明)의 조건으로부터 행(行)들이 있다. 행(行)의 조건으로부터 식(識)이 있다. …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덩어리의 일어남[집(集)]이 있다. 그러나 무명(無明)의 남김없이 빛바랜 멸(滅)로부터 행멸(行滅)이 있다. 행멸(行滅)로부터 식멸(識滅)이 있다. …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덩어리의 소멸[멸(滅)]이 있다.”라고.
Comments
보인
2020.04.22 06:3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