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dutiyāvijjāpaccayasuttaṃ (SN 12.36-무명(無明)의 조건 경2)
4. kaḷārakhattiyavaggo, 6. dutiyāvijjāpaccayasuttaṃ (SN 12.36-무명(無明)의 조건 경2)
사왓티에 머물다. …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들이 있고, 행(行)들을 조건으로 식(識)이 있고, …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은 ‘무엇이 노사이고, 누구에게 이 노사가 있습니까?’라고 이렇게 말할 것이고,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은 ‘다른 것이 노사이고 다른 사람에게 이 노사가 있다(늙고 죽는다는 것과 늙고 죽는 자와는 서로 다르다).’라고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뜻에서는 하나고 단지 표현만 다른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 생명이 그 몸이다.’라는 견해가 있을 때 범행의 삶은 없다. 또는, 비구들이여, ‘다른 생명과 다른 몸이다.’라는 견해가 있을 때 범행의 삶은 없다. 비구들이여, 이런 두 끝에 접근하지 않고 여래는 그대에게 중(中)에 의한 법을 설한다. ― ‘생을 조건으로 노사가 있다.’라고.”
‘무엇이 생(生)이고 … 무엇이 유(有)이고 … 무엇이 취(取)이고 … 무엇이 애(愛)이고 … 무엇이 수(受)이고 … 무엇이 촉(觸)이고 … 무엇이 육입(六入)이고 … 무엇이 명색(名色)이고 … 무엇이 식(識)이고 …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은 ‘ 어떤 사람은 ‘무엇이 행들이고, 누구에게 이 행들이 있습니까?’라고 이렇게 말할 것이고,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은 ‘다른 것이 행들이고 다른 사람에게 이 행들이 있다.’라고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뜻에서는 하나고 단지 표현만 다른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 생명이 그 몸이다.’라는 견해가 있을 때 범행의 삶은 없다. 또는, 비구들이여, ‘다른 생명과 다른 몸이다.’라는 견해가 있을 때 범행의 삶은 없다. 비구들이여, 이런 두 끝에 접근하지 않고 여래는 그대에게 중(中)에 의한 법을 설한다. ―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들이 있다.’라고.
그러나 비구들이여, 무명이 남김없이 바래어 소멸할 때 ‘무엇이 노사이고, 누구에게 이 노사가 있습니까?’라거나, ‘다른 것이 노사이고 다른 사람에게 이 노사가 있다’라거나, ‘그 생명이 그 몸이다.’라거나, ‘다른 생명과 다른 몸이다.’라거나 어떤 것이든 왜곡됨, 침착하지 못함, 몸부림침은 모두 버려지고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비구여, 무명이 남김없이 바래어 소멸할 때 ‘무엇이 생(生)이고, … 어떤 것이든 왜곡됨, 침착하지 못함, 몸부림침은 … 무엇이 유(有)이고 … 무엇이 취(取)이고 … 무엇이 애(愛)이고 … 무엇이 수(受)이고 … 무엇이 촉(觸)이고 … 무엇이 육입(六入)이고 … 무엇이 명색(名色)이고 … 무엇이 식(識)이고 … ‘무엇이 행들이고, 누구에게 이 행들이 있습니까?’라거나, ‘다른 것이 행들이고 다른 사람에게 이 행들이 있다.’라거나, ‘그 생명이 그 몸이다.’라거나, ‘다른 생명과 다른 몸이다.’라거나 어떤 것이든 왜곡됨, 침착하지 못함, 몸부림침은 모두 버려지고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