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12.nidāna
10. dutiyasamaṇabrāhmaṇasuttaṃ (SN 12.30-사문-바라문 경2)
3. dasabalavaggo, 10. dutiyasamaṇabrāhmaṇasuttaṃ (SN 12.30-사문-바라문 경2)
30.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tatra kho ... pe ... ye hi keci, bhikkhave,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jarāmaraṇaṃ nappajānanti, jarāmaraṇasamudayaṃ nappajānanti, jarāmaraṇanirodhaṃ nappajānanti,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nappajānanti te vata jarāmaraṇaṃ samatikkamma ṭhassan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jātiṃ nappajānanti ... pe ... bhavaṃ... upādānaṃ... taṇhaṃ... vedanaṃ... phassaṃ... saḷāyatanaṃ... nāmarūpaṃ... viññāṇaṃ... saṅkhāre nappajānanti, saṅkhārasamudayaṃ nappajānanti, saṅkhāranirodhaṃ nappajānanti,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nappajānanti te vata saṅkhāre samatikkamma ṭhassan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사왓티에 머물다. … “거기서 … 비구들이여, 노사를 꿰뚫어 알지 못하고, 노사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노사의 소멸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노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지 못하는 어떤 사문-바라문이라해도 참으로 노사를 극복하여 머물 것이라는 경우는 없다. 생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 유를 … 취를 … 애를 … 수를 … 촉을 … 육입을 … 명색을 … 식을 … 행들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행들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행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행들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지 못하는 어떤 사문-바라문이라해도 참으로 노사를 극복하여 머물 것이라는 경우는 없다.
“ye ca kho keci, bhikkhave,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jarāmaraṇaṃ pajānanti, jarāmaraṇasamudayaṃ pajānanti, jarāmaraṇanirodhaṃ pajānanti,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anti te vata jarāmaraṇaṃ samatikkamma ṭhassan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jātiṃ pajānanti ... pe ... bhavaṃ... upādānaṃ... taṇhaṃ... vedanaṃ... phassaṃ... saḷāyatanaṃ... nāmarūpaṃ... viññāṇaṃ... saṅkhāre pajānanti, saṅkhārasamudayaṃ pajānanti, saṅkhāranirodhaṃ pajānanti,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anti. te vata saṅkhāre samatikkamma ṭhassantīti ṭhānametaṃ vijjatī”ti. dasamaṃ.
비구들이여, 노사를 꿰뚫어 알고, 노사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노사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노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아는 사문-바라문이라면 누구라도 참으로 노사를 극복하여 머물 것이라는 경우는 있다. 생을 꿰뚫어 알지 못하고 … 유를 … 취를 … 애를 … 수를 … 촉을 … 육입을 … 명색을 … 식을 … 행들을 꿰뚫어 알고, 행들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행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행들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아는 사문-바라문이라면 누구라도 참으로 행들을 극복하여 머물 것이라는 경우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