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12.nidāna
6. dutiyamahārukkhasuttaṃ (SN 12.56-큰 나무 경2)
6. dukkhavaggo, 6. dutiyamahārukkhasuttaṃ (SN 12.56-큰 나무 경2)
56.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seyyathāpi, bhikkhave, mahārukkho. tassa yāni ceva mūlāni adhogamāni, yāni ca tiriyaṅgamāni, sabbāni tāni uddhaṃ ojaṃ abhiharanti. evañhi so, bhikkhave, mahārukkho tadāhāro tadupādā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tiṭṭheyya.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assād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pavaḍḍhati. taṇhāpaccayā upādānaṃ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사왓티에 머물다. …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큰 나무가 있다. 그 나무의 아래로도 뻗어있고, 옆으로도 뻗어있는 모든 뿌리는 위로 영양을 공급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자량과 그 연료가 있는 그 큰 나무는 오래 긴 시간 동안 유지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집착되는 법들에 대해 매력(魅力)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늘어난다.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있다 …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
“seyyathāpi, bhikkhave, mahārukkho. atha puriso āgaccheyya kuddālapiṭakaṃ ādāya. so taṃ rukkhaṃ mūle chindeyya, mūle chetvā palikhaṇeyya, palikhaṇitvā mūlāni uddhareyya ... pe ... nadiyā vā sīghasotāya pavāheyya. evañhi so, bhikkhave, mahārukkho ucchinnamūlo assa tālāvatthukato anabhāvaṅ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evameva kho, bhikkhave, upādāniyesu dhammesu ādīnavānupassino viharato taṇhā nirujjha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chaṭṭhaṃ.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큰 나무가 있다. 그때 사람이 괭이를 가지고 올 것이다. 그는 그 나무를 뿌리에서 자를 것이다. 뿌리를 자른 뒤에 파헤칠 것이다. 파헤친 뒤에 뿌리들 심지어 잔뿌리마저 뽑아 올릴 것이다 … 강의 거센 흐름에 흘려보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 큰 나무는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는 법들에 대해 위험을 이어보며 머무는 자에게 애(愛)는 소멸한다.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한다 …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