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vipassīsuttaṃ (SN 12.4-위빳시 경)
1. buddhavaggo, 4. vipassīsuttaṃ (SN 12.4-위빳시 경)
사왓티에 머물렀다. … “비구들이여, 위빳시 세존-아라한-정등각에게 깨달음 이전, 깨닫지 못한 보살이었을 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참으로 세상에서 고통을 겪는 이 존재는 태어나고, 늙고, 죽고, 옮겨가고, 다시 태어난다. 그러나 늙고 죽는 이 괴로움의 해방(解放)을 꿰뚫어 알지 못한다. 언제나 늙고 죽는 이 괴로움의 해방(解放)이 꿰뚫어 알려질 것인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노사(老死)가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노사(老死)가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생(生)이 있을 때 노사(老死)가 있고,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가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생(生)이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생(生)이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유(有)가 있을 때 생(生)이 있고,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유(有)가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유(有)가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취(取)가 있을 때 유(有)가 있고,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취(取)가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취(取)가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애(愛)가 있을 때 취(取)가 있고,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애(愛)가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애(愛)가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수(受)가 있을 때 애(愛)가 있고, 수(受)를 조건으로 애(愛)가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수(受)가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수(受)가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촉(觸)이 있을 때 수(受)가 있고, 촉(觸)을 조건으로 수(受)가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촉(觸)이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촉(觸)이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육입(六入)이 있을 때 촉(觸)이 있고, 육입(六入)을 조건으로 촉(觸)이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육입(六入)이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명색(名色)이 있을 때 육입(六入)이 있고, 명색(名色)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명색(名色)이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식(識)이 있을 때 명색(名色)이 있고, 식(識)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식(識)이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식(識)이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행(行)들이 있을 때 식(識)이 있고, 행(行)들을 조건으로 식(識)이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있을 때 행(行)들이 있고, 무엇을 조건으로 행(行)들이 생기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무명(無明)이 있을 때 행(行)들이 있고,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들이 생긴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이렇게 이것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들이, 행(行)들을 조건으로 식(識)이, 식(識)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명색(名色)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육입(六入)을 조건으로 촉(觸)이, 촉(觸)을 조건으로 수(受)가, 수(受)를 조건으로 애(愛)가,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자라난다[고집(苦集)].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자라남, 자라남’이라는 이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안(眼)이 생겼다. 지(知)가 생겼다. 혜(慧)가 생겼다. 명(明)이 생겼다. 광(光)이 생겼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노사(老死)가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가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생(生)이 없을 때 노사(老死)가 없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가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생(生)이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유(有)가 없을 때 생(生)이 없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유(有)가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취(取)가 없을 때 유(有)가 없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취(取)가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애(愛)가 없을 때 취(取)가 없고,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애(愛)가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애(愛)가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수(受)가 없을 때 애(愛)가 없고, 수(受)가 소멸할 때 애(愛)가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수(受)가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수(受)가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촉(觸)이 없을 때 수(受)가 없고, 촉(觸)이 소멸할 때 수(受)가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촉(觸)이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촉(觸)이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육입(六入)이 없을 때 촉(觸)이 없고, 육입(六入)이 소멸할 때 촉(觸)이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육입(六入)이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육입(六入)이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명색(名色)이 없을 때 육입(六入)이 없고, 명색(名色)이 소멸할 때 육입(六入)이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명색(名色)이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명색(名色)이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식(識)이 없을 때 명색(名色)이 없고, 식(識)이 소멸할 때 명색(名色)이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식(識)이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식(識)이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행(行)들이 없을 때 식(識)이 없고, 행(行)들이 소멸할 때 식(識)이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 ‘무엇이 없을 때 행(行)들이 없고, 무엇이 소멸할 때 행(行)들이 소멸하는가?’라고. 그러자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무명(無明)이 없을 때 행(行)들이 없고, 무명(無明)이 소멸할 때 행(行)들이 소멸한다.’라는 지혜의 관통이 여리작의(如理作意)를 통해서 생겨났다.
이렇게 이것 무명(無明)이 남김없이 바래어 소멸할 때 행(行)들이 소멸하고, 행(行)들이 소멸할 때 식(識)이 소멸하고, 식(識)이 소멸할 때 명색(名色)이 소멸하고, 명색(名色)이 소멸할 때 육입(六入)이 소멸하고, 육입(六入)이 소멸할 때 촉(觸)이 소멸하고, 촉(觸)이 소멸할 때 수(受)가 소멸하고, 수(受)가 소멸할 때 애(愛)가 소멸하고, 애(愛)가 소멸할 때 취(取)가 소멸하고, 취(取)가 소멸할 때 유(有)가 소멸하고, 유(有)가 소멸할 때 생(生)이 소멸하고, 생(生)이 소멸할 때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소멸한다. 이렇게 이 모든 괴로움 무더기가 소멸한다[고멸(苦滅)]. 비구들이여, 위빳시 보살에게 ‘소멸, 소멸’이라는 이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안(眼)이 생겼다. 지(知)가 생겼다. 혜(慧)가 생겼다. 명(明)이 생겼다. 광(光)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