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dutiyabāhiraphassanānattasuttaṃ (SN 14.10-밖의 촉(觸)의 다양함 경2)
1. nānattavaggo, 10. dutiyabāhiraphassanānattasuttaṃ (SN 14.10-밖의 촉(觸)의 다양함 경2)
사왓티에 머물다. … “비구들이여, 계(界)의 다양함을 연(緣)하여 상(想)의 다양함이 생긴다. 상(想)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생긴다. … 촉(觸) … 수(受) … 관심 … 열기 …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얻음의 다양함이 생긴다. 얻음이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관심 … 수(受) … 촉(觸) … 사유 … 상(想)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상(想)의 다양함을 연하여 계(界)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계(界)의 다양함인가? 색계(色界) … 법계(法界) ㅡ 이것이, 비구들이여, 계(界)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어떻게, 비구들이여, 계의 다양함을 연(緣)하여 상(想)의 다양함이 생기고, 상(想)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생기고, … 촉(觸) … 수(受) … 관심 … 열기 … 추구 … 얻음의 다양함이 생기는가? 얻음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고,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고, … 관심 … 수(受) … 촉(觸) …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상(想)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고, 상(想)의 다양함을 연하여 계(界)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가?
비구들이여, 색계(色界)를 연(緣)하여 색상(色想)이 생기고, … 법계(法界)를 연(緣)하여 법상(法想)이 생기고, 법상(法想)을 연하여 … 법(法)에 대한 추구가 생기고, 법에 대한 추구를 연하여 법에 대한 얻음이 생긴다. 법에 대한 얻음을 연하여 법에 대한 추구가 생기지 않고, 법에 대한 추구를 연하여 법에 대한 열기가 생기지 않고, 법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법에 대한 관심이 생기지 않고, 법에 대한 관심을 조건으로 법에 대한 촉(觸)에서 생기는 수(受)가 생기지 않고, 법에 대한 촉에서 생기는 수를 조건으로 법에 대한 촉이 생기지 않고, 법에 대한 촉을 연하여 법에 대한 사유가 생기지 않고, 법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법상(法想)이 생기지 않고, 법상(法想)을 연하여 법계(法界)가 생기지 않는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계(界)의 다양함을 연(緣)하여 상(想)의 다양함이 생긴다. 상(想)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생긴다. … 촉(觸) … 수(受) … 관심 … 열기 … 추구 … 얻음의 다양함이 생긴다. 얻음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관심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관심의 다양함을 연하여 수(受)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수의 다양함을 연하여 촉(觸)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상(想)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 상(想)의 다양함을 연하여 계(界)의 다양함이 생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