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17.lābhasakkāra > paṭhama
1. dāruṇasuttaṃ (SN 17.1-가혹함 경)
1. paṭhamavaggo, 1. dāruṇasuttaṃ (SN 17.1-가혹함 경)
157.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이렇게 나는 들었다. ㅡ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불렀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dāruṇo, bhikkhave, lābhasakkārasiloko kaṭuko pharuso antarāyiko anuttarassa yogakkhemassa adhigamāya. tasmātiha, bhikkhave, evaṃ sikkhitabbaṃ — ‘uppannaṃ lābhasakkārasilokaṃ pajahissāma, na ca no uppanno lābhasakkārasiloko cittaṃ pariyādāya ṭhassatī’ti. evañhi vo, bhikkhave, sikkhitabban”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얻음과 존경과 명성은 가혹한 것이고, 날카로운 것이고, 거친 것이고, 위없는 유가안온(瑜伽安穩)의 성취에 장애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ㅡ ‘생겨난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우리는 버릴 것이다. 생겨난 얻음과 존경과 명성이 심(心)을 소진하여 머물지 못할 것이다.’라고. 이렇게,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공부해야한다.”
Comments
보인
2020.12.07 16:57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19 19:55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10&wr_id=2 참조 (마라의 개념 - 까꾸산다 부처님과 두시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