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3.rādha
4. pariññeyyasuttaṃ (SN 23.4-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 경)
1. paṭhamavaggo, 4. pariññeyyasuttaṃ (SN 23.4-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 경)
163. sāvatthinidānaṃ. āyasmā rādh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aṃ kho āyasmantaṃ rādhaṃ bhagavā etadavoca —
사왓티에서 설해짐. 라다 존자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라다 존자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pariññeyye ca, rādha, dhamme desessāmi pariññañca pariññātāviṃ puggalañca. taṃ suṇāhi, sādhukaṃ manasi karohi;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āyasmā rādho bhagavato paccassosi. bhagavā etadavoca — “katame ca, rādha, pariññeyyā dhammā? rūpaṃ kho, rādha, pariññeyyo dhammo, vedanā pariññeyyo dhammo, saññā pariññeyyo dhammo, saṅkhārā pariññeyyo dhammo, viññāṇaṃ pariññeyyo dhammo. ime vuccanti, rādha, pariññeyyā dhammā. katamā ca, rādha, pariññā? yo kho, rādha, rāgakkhayo dosakkhayo mohakkhayo — ayaṃ vuccati, rādha, pariññā. katamo ca, rādha, pariññātāvī puggalo? ‘arahā’tissa vacanīyaṃ. yvāyaṃ āyasmā evaṃnāmo evaṃgotto — ayaṃ vuccati, rādha, pariññātāvī puggalo”ti. catutthaṃ.
“라다여,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들과 완전한 지혜와 완전히 안 사람을 설하겠다. 그것을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할 것이다.”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라다 존자는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라다여, 무엇이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들인가? 라다여, 색(色)은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이다. 수(受)는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이다. 상(想)은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이다. 행(行)들은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이다. 식(識)은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이다. 라다여, 이것이 완전히 알려져야 하는 법들이라고 불린다. 라다여, 무엇이 완전한 지혜인가? 라다여, 탐(貪)이 부서지고, 진(嗔)이 부서지고, 치(癡)가 부서진 지혜, 라다여, 이것이 완전한 지혜라고 불린다. 라다여, 누가 완전히 안 사람인가? 이런 이름과 이런 성을 가진 아라한 존자라고 말해져야 한다. 라다여, 이것이 완전히 안 사람이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