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3.rādha > āyācana
12. nirodhadhammasuttaṃ (SN 23.24-소멸의 법 경)
3. āyācanavaggo, 12. nirodhadhammasuttaṃ (SN 23.24-소멸의 법 경)
193. sāvatthinidānaṃ.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rādho bhagavantaṃ etadavoca — “sādhu me, bhante, bhagavā saṃkhittena dhammaṃ desetu, yamahaṃ bhagavato dhammaṃ sutvā eko vūpakaṭṭho appamatto ātāpī pahitatto vihareyyan”ti.
사왓티에서 설해짐. 한 곁에 앉은 라다 존자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대덕이시여, 세존께서 저에게 간략함에 의한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런 저는 세존에게 법을 들은 뒤 홀로 외딴 곳에서 방일하지 않고 노력하고 단호한 의지를 가지고 머물 것입니다.”라고.
“yo kho, rādha,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rāgo pahātabbo, chandarāgo pahātabbo. ko ca, rādha, nirodhadhammo? rūpaṃ kho, rādha,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vedanā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saññā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saṅkhārā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viññāṇaṃ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 pe ... yo kho, rādha,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rāgo pahātabbo, chandarāgo pahātabbo””ti.
“라다여, 소멸의 법인 것,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그러면, 라다여, 무엇이 소멸의 법인가? 라다여, 색(色)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수(受)는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상(想)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행(行)들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식(識)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라다여, 소멸의 법인 것,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