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3.rādha > upanisinna
12. nirodhadhammasuttaṃ (SN 23.26-소멸의 법 경)
4. upanisinnavaggo, 12. nirodhadhammasuttaṃ (SN 23.26-소멸의 법 경)
205. sāvatthinidānaṃ. ekamantaṃ nisinnaṃ kho āyasmantaṃ rādhaṃ bhagavā etadavoca — “yo kho, rādha,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rāgo pahātabbo, chandarāgo pahātabbo. ko ca, rādha, nirodhadhammo? rūpaṃ kho, rādha,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rāgo pahātabbo, chandarāgo pahātabbo. vedanā ... pe ... saññā ... pe ... saṅkhārā ... pe ... viññāṇaṃ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rāgo pahātabbo, chandarāgo pahātabbo. yo kho, rādha, nirodhadhammo; tatra te chando pahātabbo, rāgo pahātabbo, chandarāgo pahātabbo””ti.
사왓티에서 설해짐. 한 곁에 앉은 라다 존자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라다여, 소멸의 법인 것,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그러면, 라다여, 무엇이 소멸의 법인가? 라다여, 색(色)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수(受)는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상(想)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행(行)들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식(識)은 소멸의 법이다.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 라다여, 소멸의 법인 것, 거기에 대해서 그대에게 찬다가 버려져야 하고, 탐(貪)이 버려져야 하고, 욕탐(欲貪)이 버려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