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7.kilesa
1. cakkhusuttaṃ (SN 27.1-안(眼) 경)
6. kilesasaṃyuttaṃ, 1. cakkhusuttaṃ (SN 27.1-안(眼) 경)
322. sāvatthinidānaṃ. “yo, bhikkhave, cakkhusmiṃ chandarāgo, cittasseso upakkileso. yo sotasmiṃ chandarāgo, cittasseso upakkileso. yo ghānasmiṃ chandarāgo, cittasseso upakkileso. yo jivhāya chandarāgo, cittasseso upakkileso. yo kāyasmiṃ chandarāgo, cittasseso upakkileso. yo manasmiṃ chandarāgo, cittasseso upakkileso. yato kho, bhikkhave, bhikkhuno imesu chasu ṭhānesu cetaso upakkileso pahīno hoti, nekkhammaninnañcassa cittaṃ hoti. nekkhammaparibhāvitaṃ cittaṃ kammaniyaṃ khāyati, abhiññā sacchikaraṇīyesu dhammesū”ti. paṭhamaṃ.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안(眼)에 대한 욕탐(欲貪)은 심(心)의 오염원이다. 이(耳)에 대한 욕탐(欲貪)은 심(心)의 오염원이다. 비(鼻)에 대한 욕탐(欲貪)은 심(心)의 오염원이다. 설(舌)에 대한 욕탐(欲貪)은 심(心)의 오염원이다. 신(身)에 대한 욕탐(欲貪)은 심(心)의 오염원이다. 의(意)에 대한 욕탐(欲貪)은 심(心)의 오염원이다.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이 여섯 가지 경우에 대한 심(心)의 오염원이 버려질 때 심(心)은 출리(出離)로 기운다. 출리(出離)를 완전히 닦은 심(心)은 실답게 안 뒤에 실현되어야하는 법들에 대해 적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