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8.sāriputta
3. pītisuttaṃ (SN 28.3-기쁨 경)
7. sāriputtasaṃyuttaṃ, 3. pītisuttaṃ (SN 28.3-기쁨 경)
334. sāvatthinidānaṃ. addasā kho āyasmā ānando ... pe ... “vippasannāni kho te, āvuso sāriputta, indriyāni; parisuddho mukhavaṇṇo pariyodāto. katamenāyasmā sāriputto ajja vihārena vihāsī”ti?
사왓티에서 설해짐. 아난다 존자가 멀리서 오고 있는 사리뿟따 존자를 보았다. 보고서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 “도반 사리뿟따여, 그대의 기능들은 아주 밝습니다. 얼굴빛은 깨끗하고 맑습니다. 사리뿟따 존자는 오늘 어떤 머묾으로 머무셨습니까?”라고.
“idhāhaṃ, āvuso,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āsiṃ sato ca sampajāno sukhañca kāyena paṭisaṃvedemi; yaṃ taṃ ariyā ācikkhanti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tassa mayhaṃ, āvuso, na evaṃ hoti — ‘ahaṃ tatiyaṃ jhānaṃ samāpajjāmī’ti vā ‘ahaṃ tatiyaṃ jhānaṃ samāpanno’ti vā ‘ahaṃ tatiyā jhānā vuṭṭhito’ti vā”ti. “tathā hi panāyasmato sāriputtassa dīgharattaṃ ahaṅkāramamaṅkāramānānusayā susamūhatā. tasmā āyasmato sāriputtassa na evaṃ hoti — ‘ahaṃ tatiyaṃ jhānaṃ samāpajjāmī’ti vā ‘ahaṃ tatiyaṃ jhānaṃ samāpanno’ti vā ‘ahaṃ tatiyā jhānā vuṭṭhito’ti vā”ti. tatiyaṃ.
“여기, 도반이여, 나는 기쁨의 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삼빠자나 하면서 머물고,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한다. 성인들이 '평정을 가진 자, 사띠를 가진 자, 즐거움에 머무는 자[사념락주(捨念樂住)].'라고 말하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그런 나에게 ‘나는 제3선을 성취한다.’라거나, ‘나는 제3선을 성취했다.’라거나, ‘나는 제3선에서 나왔다.’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오랫동안 나를 만들고 나의 것을 만드는 자기화의 잠재성향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서 그렇게 잘 뿌리뽑혔습니다. 그래서 사리뿟따 존자에게 ‘나는 제3선을 성취한다.’라거나, ‘나는 제3선을 성취했다.’라거나, ‘나는 제3선에서 나왔다.’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